이주영 정치부 기자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가 749일 남았다. 2년 남짓이면 4년마다 돌아오는 40억 아시아인의 축제가 이 곳, 인천에서 열린다. 하지만 가슴 벅찬 아시안게임의 감동을 기대하는 시민이 몇이나 될까. 되레 아시안게임만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하다는 시 안팎의 푸념이 상당하다.
지난 29일 열린 2차 여야정협의체에서 인천아시안게임에 대한 인천시와 민주통합당·새누리당 인천지역 국회의원가 바라보는 온도차를 다시금 실감했다. 가뜩이나 준비에 어려운 상황인데, 덜컹 큰일났다는 생각이 앞섰다.

이날 회의는 지난 1차 여야정협의체 때 보여준 여·야·정의 실랑이가 시민에게 입힌 상처를 의식한 듯 처음부터 "이제 평창동계올림픽 수준인 국비 75% 확보를 위해 관련법 개정을 합의하자"는 화해무드로 시작했다.
그러나 분위기는 금세 뒤바뀌었다. 새누리당 이학재(서구·강화 갑) 국회의원이 "인천시가 태도를 바꾸지 않으면 정부가 도와주겠느냐"며 인천시의 책임론과 정부에 대한 저자세를 불쑥 꺼냈다. 여기에 "기왕할 것 (국비 지원을 )90%로 하자. 타 지역 선례는 없고, 더구나 인천홀대론 얘기말자"고 덧붙였다.
여야정 협의를 위해 '금지어'와 같은 발언을 꺼냈다. 그동안 인천시가 "새누리당의 민선 4기 때 아시안게임 준비를 잘못해 이 지경에 이르렀다. 지금 시 정부가 이를 만회하기 위해 서구 주경기장 등에 대한 입장을 바꿨다"는 입장을, 민주통합당은 "그래서 평창 동계올림픽 수준으로 아시안게임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며 시에 힘을 보탰다.

이 때문에 지난 1차 여야정 협의체에서는 '탓'만 하다 끝났다. 이날 2차 협의체의 암묵적 기조가 바로 "남 탓하지 말자" 였다. 파행으로 치닫던 회의가 이 자리에 함께 한 재정극복 범시민협의회의 반발에 급진전돼 겨우 "평창동계올림픽 수준인 국비 75% 지원을 위해 관련 법을 개정해 9월7일까지 발의하자"고 합의됐다.
문제는 합의에 앞서 상처만 남긴 여야정이 법안 발의 후 법 개정을 위해 마음을 모아 국회를 설득할 수 있느냐다. 스스로가 아닌 등떠밀려 한 합의가 얼마나 실효성이 클지, 287만 시민들이 지켜볼 것이다. 혹시 개정 법안이 국회를 통과 못하면 여야 서로가 '네 탓'으로 다시 몰고가진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