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 곳곳에는 위험시설물이 도사리고 있다. 대형화재나 붕괴사고 등 도시형 재난은 우리사회의 안전불감증과 관리체계가 허술한 틈을 타 일순간에 대형참사로 이어져 귀중한 인명과 재산을 빼앗아간다. 더욱이 교량 등 다중이 이용하는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관리소홀은 더 큰 재앙을 불러온다는 점에서 보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인천시가 제출한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시내 24개 고가교 안전진단 결과 70.8%인 17개 교량이 균열^파손 등 안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만석^법원고가교 등 차량 왕래가 잦은 고가교 대부분이 교각일부균열^내부부식^백태현상 등 안전에 이상징후가 나타나 보수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같은 이상이 부실시공에 있든 관리소홀에 있든간에 위험요소가 제거되지 않는 한 불행을 막을 수가 없다.

 우리는 지난 4년전 있었던 성수대교 대참사를 결코 잊을 수 없다. 출근길의 시민과 등교하던 학생 수십명이 떼죽음을 당한 어처구니 없는 사고였다. 참극의 원인이 부실시공에 있지만 안전점검을 겉치레로 한 당국에도 그 책임이 큰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크고 작은 많은 사고를 당해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얻은 교훈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안전관리와 사전예방에 많은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시민의 안전과 재산을 지키는 일이야말로 행정의 최우선 과제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선진사회가 되려면 무엇보다 안전의식이 달라져 인재로 인해 수십명이 생명을 잃는 원시적 사고가 일어나서는 안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날때마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는 입으로만 안전대책을 되풀이할 뿐 위험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이 형식에 그치고 있으며 위험이 예고된 시설물에 대한 안전조치도 미흡하기 짝이 없다.

 우리사회에 안전의식이 풀어져 있는데도 원인이 크다. 그만큼 사고를 겪었으면 안전에 대한 각성이 있어야 하는데 대충 해두고 사고가 나지 않겠지 하는 안전불감증이 어이없는 사고를 부른다. 무엇보다 당국이 위험요소를 발견할 즉시 조치를 해야 비극적인 참사를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