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대기업과 투신·종금사의 자금난이 기업 전체의 신용경색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 정부가 정책 수단을 총동원, 긴급 진화에 나섰다.

 △종금사 유동성지원=정부가 금융구조조정의 원칙에 어긋난다는 여론의 비난을 감수하면서 마련하고 있는 가장 핵심적인 시장 대책이다.

 당초 종금사 지원은 대주주의 사후책임을 조건으로 한국종금에 그친다는 방침이었으나 다른 종금사의 유동성 악화가 심화되면서 기업자금난이 가중되자 일단 유동성을 지원, 종금사의 추가 퇴출을 막아야 한다는 쪽으로 입장이 정리됐다.

 지원 방식은 정부는 종금사 발행 후순위채를 인수하고 은행은 국공채나 우량회사채를 담보로 잡고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투신사 신상품 허용=채권시가평가제 시행을 앞두고 투신사의 유동성 개선과 기업 자금난 해소를 위해 개인연금신탁과 퇴직신탁을 전면 허용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특정기업의 주식을 50% 이상 무제한 편입할 수 있는 주식형 사모펀드도 허용하기로 했다.

 특히 사모펀드를 통해 주식시장에서 중소·중견 기업의 인수·합병(M&A)이나 이를 막기 위한 대주주의 지분관리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밖에 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은행에 만기 3개월(단위형 상품은 6개월 이상) 이상의 단기 신탁상품을 오는 23일 허용하기로 했다. 이 상품은 회사채·CP에 50% 이상을 운용한다.

 △10조원 채권전용펀드 7월 조성=지난 16일 이헌재 재경부 장관이 발표했던 10조원 규모의 채권전용펀드를 은행·보험 등 금융권 출자로 7월중 출범 시키기로 했다.

 정부는 채권전용펀드에 대해 관치 논란이 있을 수 있으나 시장 불안이 장기화될 경우 금융기관의 피해가 가중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채권시장 활성화와 이를 통한 기업자금난 해소에 금융권도 견해를 같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 펀드가 중견대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목표로 하고 있는만큼 우량 채권보다는 B급 채권에 주로 투자토록 유도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의 자금난을 해소 하기 위해 현재 투자적격의 상장·코스닥등록기업으로 제한하고 있는 ABS 발행 적격기업의 범위를 모든 상장·코스닥등록법인과 우량 비상장법인으로 확대해 23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