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칭우 사회부 기자
   
 


전국 최하위 투표율 속에 '서여동야(西與東野)', 6대6 구도를 형성한 인천지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결과를 놓고 다양한 해석과 분석이 쏟아지고 있다.
전국적인 구도를 보면 이번의 선거결과 19대 의회는 새누리당을 비롯한 범보수 진영이 150여 석, 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 범진보 진영이 140여 석을 차지한 '52대48' 구조다. 인천을 제외한 수도권에서는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이 휩쓸었던 17대 총선 결과를 재현했다. 새누리당에서는 박근혜 대세론이 공고해진 반면 민주당에서는 한명숙 대표가 사퇴하며 후폭풍이 예고된다.

인천에서는 새누리당이 10석에서 6석으로 4석을 잃었지만 나름 선전했다는 평가 속에 대선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민주당은 2석에서 6석으로 늘었지만 공천에 대한 책임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야권연대지역 중 남갑에만 유일하게 출마했던 통합진보당은 예상 외의 큰 격차 패배에 인천에서 가장 낮은 투표율로 앞으로 야권연대 형성에 난항이 예고되고 있다.

한편 인천지역 투표율은 51.4%로 세종시를 포함한 17개 광역시·도에서 최하위에 머물렀지만 전국 투표율과의 격차가 2.9% 포인트에 불과했다. 다소 이례적인 투표율을 보였던 2010년 제5회 지방선거에 비해 투표율은 다소 낮아졌지만 역대 총선에서 전국 투표율과 3%포인트 이상 큰 격차가 났던 것에 비해서는 투표율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에서 눈에 뛴다.

투표율과 바뀐 정치 지형도를 놓고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는 이번 선거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기했다. 공천싸움이 절대적으로 중요해졌다는 점이다. 인천지역만 놓고 본다면 새누리당은 4선 의원 2명, 3선 의원 1명 등 현역 의원 4명을 교체하며 쇄신공천에 나섰지만 민주당에서는 전략공천이라는 명목으로 이해하기 힘든 공천을해 스스로 발목을 잡았다.
2010년, 2011년 두 차례의 재·보궐선거에 이어 이번 총선에서도 낙하산 공천이 안된다는 준엄한 유권자의 심판이 재현됐다. 인천 현안과 선거구별 현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해법을 요구하는 정책선거가 일정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는 점도 청신호다.
낙선·지지운동 등 선거에 개입하지 않은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 7곳과 14명의 각계 전문가로 인천일보가 구성한 2012인천총선정책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여러 단체에서 후보자를 괴롭혔다. '후보를 결정했으니 알아서들 찍어라'에서 '그래 어떤 공약을 내놨고 지역 현안에 대해서 후보자들은 어떤 생각을 하는데'로 전환하는 계기가 된 셈이다.

후보자들의 답변은 신문지상과 인터넷 공간에 남아 있어 의정활동 내내 판단의 기준이 될 것이다. 앞으로 8개월 뒤에 치뤄질 대선에서 인천지역 정치권과 매의 눈을 하고 지켜볼 시민사회, 이에 대한 유권자들의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 벌써부터 관심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