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영주 사회부 기자
   
 


"진짜 어린이집들 다 문 닫나요?" 자녀를 어린이 집에 보내는 학부모에게 이번 한 주는 큰 혼란과 걱정의 시간이었다.
주말을 앞둔 지난달 27일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민간어린이집 분과위원회가 일주일간 전국적으로 집단 휴원을 하겠다고 예고했기 때문이다. 몇년째 보육료가 동결돼 시설 운영이 어려운 데다 매년 사건사고가 터질 때마다 규제만 강화돼 보육교사들의 어깨를 더 무겁게 했다는 게 집단 휴원 결정 이유였다.

연합회 방침이 발표된 후 학부모들은 비상이 걸렸다. 보건복지부 게시판과 각종 인터넷 포털 사이트 게시판은 '어린이집 휴원'을 주제로 하루에도 수천 건의 글들이 올라왔다. 당장 아이를 맡길 곳을 찾지 못한 부모들은 어린이집이 아이들을 볼모로 돈거래를 한다고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각 시설마다 휴원 여부를 묻는 문의 전화도 빗발쳤다. 다행히 휴원 예고 첫 날 대부분의 시설들이 당직 교사를 배치하거나 정상적으로 운영했고 이틀 뒤 연합회가 휴원을 전면 취소해 우려했던 '대란'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이번 사태가 여러 가지 면에서 후유증을 낳은 것은 사실이다.
비단 서로의 주장을 상대에게 관철시키는 과정에 아이들을 내세웠다는 점 때문만은 아니다. 현재 우리 사회에 만연한 '불신'의 단면을 보는 것 같기 때문이다.

어린이집 관계자들은 보육료와 필요 경비 등을 합친 운영비는 각종 시설 공과금, 급·간식비, 인건비 등을 빼면 사실상 남는 게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 때문에 현실적인 수준의 보육료 인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집단 휴원을 비판한 대다수 학부모들은 이런 주장을 믿지 않고 있다. 보육교사 처우는 열악할 지 모르지만 원장들은 상당한 부를 축적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더욱이 이번 집단 휴원이 27일 진행된 민간어린이집 분과위원장 선거와 관련한 '선거용 제스쳐'라는 의혹이 돌면서 이런 불신은 더 깊어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연합회의 휴원 철회 방침과 대책 마련을 위한 협의체 구성안이 이미 발표됐지만 학부모들 사이에서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형식적인 마무리는 됐지만 학부모들은 여전히 어린이집 수익구조에 대해 갑론을박을 하고 있다.

좋은 기회다. 어린이집에 대한 범국민적 관심이 쏠린 이때 '어린이집을 둘러싼 진실과 거짓'을 밝혀 우리 아이들이 보다 좋은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집단 참여'하는 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