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업체들이 납부한 관리비를 주 재원으로 조성한 자산을 납득할만한 이유 없이 매각하려는 산업단지 남동지원처의 처사에 반대의 소리가 높다. 현재 매각을 추진중인 자산은 2백억원이나 되는 공단회관을 비롯하여 부지 등 4건으로 감정가만도 3백억원대에 이른다고 한다. 자산매각 추진 이유에 대한 공단측의 설명은 아리송 하다.

 첫째, 얘기인즉슨「불필요하게 과다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매각하라」는 정부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하나 우리가 보기에는 정부의 뜻을 잘못 헤아린 것 같다. 문화·복지시설 확충이 시대적 요구임을 모를리 없을텐데 애써 조성한 시설이「불필요한 과다자산」으로 분류 되도록 방임해 두었느냐는 바로 그점이 궁금하다. 과다보유가 아니라 사장(死藏)이며 그에 따른 책임을 먼저 묻고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는게 우리의 생각이다.

 다음으로 80년대 말부터 입주업체들이 분양금 2%를 관리비로 납부해 왔다면 일정부분의 지분을 갖고 있는 공유의 자산이라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라는 점이다. 3천여 업체에 근로자만도 5만5천명을 헤아리는 우리나라 유수의 중소기업 전용공단임을 자처하고 있으나 복지·문화시설은 태무한 실정이다. 이것이 우리나라 공단의 현주소이며 남동공단이 그 대표적인 본보기가 아닌가 싶다.

 구로공단이나 시화공단에서는 탁아소 시설을 마련한 전례가 있고 보면 남동공단 근로자들은「우리가 봉이냐」는 푸념을 늘어놓을 만도 하게 됐다. 이런 현상이 계속된다면 신뢰가 땅에 떨어질게 뻔하다. 상부의 지시라느니 공단차원에서는 결정할 수 없는 일이라느니 하는 책임 떠넘기기식 안일한 자세가 문제다. 공조직의 속성인 고비용 저효율이 가져온 폐해도 그렇지만 그에따른 부작용을 걱정하는 것이다. 공단측은 당사자인 입주업체와 근로자들이 토로한 이런 불만과 지적을 절대 가볍게 보아 넘겨서는 안된다. 자칫 내부 갈등·반목을 부를 위험도 있다.

 일방통행식 매각을 일단 보류하고 입주업체와 근로자들이 무엇을 바라고 있는지 귀담아 듣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쪽으로 방향을 돌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