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인 체선, 체화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보고있는 인천항의 부두난을 해결키위한 신항만이 송도앞바다에 건설되리라한다. 해양수산부와 인천시는 21세기 수도권지역의 해상수송 물동량을 확대하고 인천국제공항과 조화를 이루는 국제적 물류기지 건설을 위해 오는 2020년까지 송도 앞바다와 시흥시 정왕동 시화방조제주변 해역 5백20만평에 연간5천7백여만t의 화물을 처리할수 있는 79개 선석을 갖춘 인천남외항을 새로 건설키로 했다는 것이다.

 인천항은 물동량이 연간 1억t을 넘기면서 부두난으로 체선, 체화현상이 심각한 국면을 넘어 이제 수출입화물의 처리가 마비될 지경에까지 이르러 신항만건설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온지 오래다. 그러나 IMF로 항만건설비확보와 민자유치가 쉽지않아 민자로 건설하려던 남항이나 북항개발이 계속 표류해 인천항을 찾는 외항선들이 심각한 체선, 체화로 인천항 입항을 기피해 경제적 손실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 이로인한 인천항의 손실비용만도 연간 2천억원을 넘어 경쟁력에서 뒤질 수 밖에 없는 처지다. 이런때 해양수산부가 모두 4조3천7백여억원을 들여 2020년까지 연차적으로 연간 5천7백46만t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신항만을 건설한다니 기대가 크다.

 인천항은 서해안 시대를 맞아 대중국, 교역활성화로 날이 갈수록 항만이 좁아지고 있다. 특히 남북정상화담으로 대북교류가 확대되면 인천항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더구나 인천항은 우리나라 수출입 관문이기 때문에 우리경제의 도약을 위해서는 항만확장과 배후지에 물류기지 확보가 시급한 과제라 할 수있다. 그럼에도 인천항이 이지경에 이른 것은 한마디로 그동안 정부가 거의 방치해왔기 때문이다. 항만투자를 제대로 하지않은 탓이다. 그래서 해수부가 뒤늦게나마 인천항의 부두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신항만을 건설한다니 환영하는 것이다.

 해수부는 당연히 신항만건설을 앞당겨 인천항의 물류흐름을 지원해야한다. 물론 항만시설확충에는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항만시설의 특성에 비추어 정부의 주도가 불가피하지만 민자유치도 검토해볼만하다. 항만의 적체현상을 해소치않고서는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