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실무절차합의서 발표가 기대됐던 3일 3차 접촉의 발목을 잡은 대목은 과연 무엇일까.

 남북 양측이 비공개진행의 원칙을 내세워 추상적으로만 설명하고 있어 정확한 진상은 알 도리가 없다.

 하지만 3차 접촉이 끝난 다음 남북 양측의 수석대표가 밝힌 회담 경과를 되짚어보면 어느 정도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이날 쟁점 사안으로 의제와 실무절차 부분의 통신 등 두 가지 사안을 꼽는데 주저하지 않고 있다.

 남측 당국자들은 양측이 제시한 각각의 합의서 초안을 하나의 합의서 문안으로 작성하는 과정상의 표현 차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의제 부분은 표현 기술상의 차이가 본질 문제와 직결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의제가 포괄적인 형식으로 4·8 합의서의 전문을 정리하는 수준이라고 하더라도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초점을 맞춘 양측 입장은 서로 명백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사안이라는 것이다.

 「7·4 남북공동성명에서 천명된 조국통일 3대 원칙을 재확인」하고자 하는 북측 입장과 「민족의 화해와 단합, 교류와 협력, 평화와 통일을 실현」하려는 남측 입장을 단순히 배치하는데는 큰 문제가 없지만 이 경우 공통된 해석의 기준은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두번째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상황 변화이다. 특히 통신 분야의 경우 북측으로선 제대로 준비하는데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관련해 북측은 이날 접촉에서 한때 선(先) 경호, 통신 등 실무회담 후(後) 실무합의서 체결 방안까지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은 4차 접촉 이후 경호, 통신 등 분야별 실무회담을 갖기로 양측이 합의했으나 통신 문제는 양측 모두 간단하게 넘길 형편이 아니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보도와 관련된 위성 통신장비(SNG) 반입 보장 여부와 달리 남측이 제기한 것으로 알려진 무궁화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성 통신망 구성에 대한 편의 제공은 정상회담의 본질과도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양영식 남측 수석대표는 『4차 준비접촉이 합의서 산출의 고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북측 김 단장은 절차문제와 관련해 『94년에 합의한 것이 기초가 되기는 하겠지만 새로운 내용이 필요하다』며 『새 천년의 만남인 만큼 새로운 부분이 많다』고 의미있는 여운을 남겼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