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부터 수험생들의 개인별 총점이 주어지지 않고 대신 총점을 계열별 상위 4%까지 1등급, 이후 7%는 2등급, 이후 12%는 3등급 등으로 해 9등급으로 나눈 등급제가 도입된다.  또 영역별 소수점 점수도 사사오입해 표기된다.  따라서 수능성적이 지원자격 기준으로만 쓰이거나 영역별로 반영돼 총점이 합.불합격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드는 대신 수능영역별 점수, 학생부, 면접, 자격증 등이 주요 전형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19일 지난 98년 10월 당시 안대로 2002학년도부터 수험생들의 수능성적을 발표할 때 원점수와 변환표준점수의 총점과 그 백분위점수를 제공하지 않는 대신 이를 9등급으로 나눠 수험생이 속한 등급만 표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등급제는 1등급이 계열별 변환표준점수 상위 4%고 2등급 7%, 3등급 12%, 4등급17%, 5등급 20%, 6등급 17%, 7등급 12%, 8등급 7%, 9등급 4% 등인 「스태나인」 (stanine) 방식이 적용된다.  이와 함께 수능성적 발표 때 영역별 원점수와 변환표준점수의 소수점 배점도 폐지하고 영역별 백분위점수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주어졌으나 2002학년도부터는 소수점을 없애기로 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대학 입학전형에서 수능 총점과 학생부성적 등을 일괄합산, 합격자를 사정함으로써 1점 이하의 점수에서도 당락이 엇갈리던 종전의 불합리한 입시 관행이 어느정도 사라질 전망이다.  대신 우선 총점 등급을 지원자격으로 삼고 다음 단계에서 수능 영역별 점수, 학생부 및 면접성적, 특기사항 등을 종합, 합격자를 걸러내는 다단계 전형이 일반화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김영식 고등교육지원국장은 『수능시험에서 몇점을 더 얻으려고 노력하기보다 학생들이 특기나 적성을 살리는데 힘을 쏟도록 유도하기 위해 수능성적 표기방식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총점과 그에 따른 백분위 점수가 폐지돼 수험생들이 등급 외에는 자신의계열별 전국 석차를 전혀 알 수 없게 됨으로써 교사들의 진학 지도에 혼란이 빚어질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