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을 앞두고 이익집단의 집단행동이 봇물을 이뤄 사회불안과 시민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대우자동차가 지난달 31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간데 이어 의료계 집단휴진, 시내버스 파업, 자동차 4사 파업 등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또 서울 지하철 노조, 직장의 보노조 등도 총파업에 돌입할 태세다. 무엇보다 병·의원의 집단휴진, 시내버스 파업은 시민들에게 큰 고통을 주고 있다.

 특히 시민의 발을 볼모로 한 시내버스 파업은 어떠한 명분이건 용납할 수 없다. 전국 6대도시의 시내버스 사정은 마찬가지다. 임금 12.6%인상, 대물보험가입, 체불임금청산 등 노조의 요구 조건도 같다. 그런데 5곳은 노사간 협상타결로 극한상황을 피했는데도 인천만이 협상결렬로 4일 파업을 강행, 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준 것은 어떤 변명을 한다해도 비난받아 마땅하다. 의약분업과 의료수가 인상률에 불만을 갖고 집단휴진한 의사들의 집단행동 역시 정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인천의사회는 지난달 31일부터 3일간 다른 시·도에 앞장서 집단휴진을 강행, 시민들이 고통을 겪었다. 의사들이 어떠한 이유로도 환자의 진료와 치료를 거부한 것은 용납할 수 없는 행위로 비난받을 일이다.

 정부의 대우, 쌍용차 해외매각 방침이 철회되지 않을 경우 대우자동차에 이어 현대, 쌍용, 기아 등 완성차 4개노조도 오늘부터 13일까지 연대 파업에 돌입, 산업현장에 난기류와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또 서울지하철노조도 7~8일 48시간 총파업을 결의했고 직장의 보노조도 10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키로 해 교통불편과 지역의보서비스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IMF체제에서 그동안 자제해왔던 노동계의 임금인상과 단체협약개선 요구가 경제호전에 따라 표출되고 있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만 하다. 그러나 모처럼 회복단계에 들어선 우리경제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이번 16대총선 분위기는 어느 선거때보다도 유별나게 어수선하다. 이런 총선정국에 편승, 시내버스가 파업하고 동네 의원들이 문을 닫으며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하려고 하는 것은 정당하다고 볼 수 없다. 특히 공익성을 지닌 버스, 지하철, 병·의원들이 시민을 볼모로 한 집단행동은 어떤 명분이건 용납돼선 안된다. 선거기간을 이용한 이같은 불법적인 집단행동에 정부는 강력히 대처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