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내버스의 운영체계가 공동배차제에서 회사별 개별배차제로 바뀌었다. 공동배차로선 갈수록 악화되는 적자경영을 개선할 수 없다는 업계의 자구책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지난 83년부터 시행돼 온 공동배차제가 18년만에 회사별 경영방식에 따른 개별배차로 바뀐 것이다. 대중교통수단으로서의 공공성을 볼때 버스업계의 이해만을 따진 것이 아닌지 짚어 볼 문제다.

 시내버스 공동배차제가 지금까지 십수년간 유지 존속된 것은 대중교통의 유일한 수단이었기 때문이다. 승객을 콩나물시루처럼 싣고 운행, 한때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 비유했으니 말이다.

 그러나 승용차가 폭증하고 마을버스의 도입, 지하철 개통으로 승객을 뺏긴 시내버스가 사양산업으로 변하고 적자로 반전된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지금까지 공동배차제에 안이하게 대처해온 업계의 자업자들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성 싶다.

 공동배차제는 부작용과 단점도 적지 않았음을 부인 할 수 없다. 버스노선은 황금노선과 적자노선이 있게 마련이다. 버스공동배차제의 목적도 수익노선과 적자노선에 따른 손익을 업계가 고루 배분하고 공동체적 책임의식을 갖자는데 있을 것이다. 그러나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 배차간격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임의결행하기가 예사였고 불친절·차내불결·냉난방미비 등 시내버스에 대한 시민의 불편·불만사항이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 시민들이 요구하는 서비스 수준의 고급화나 대형화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버스업체들이 경영합리화와 구조조정에 안이하게 대처해왔기 때문이다. 더욱이 적자노선이라 하여 노선을 반납하고 운행을 중단하는 것은 공익성을 저버린 극히 이기적 행태가 아닐 수 없다.

 무엇보다 우려되는 것은 버스업체들이 적자를 보전키위해 비수익노선에 대한 잦은 결행이나 편법운행으로 시민불편이 가중되는 등 공동배차제 폐지에 따른 부작용과 혼선이 심각해지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버스행정은 종합적이고 일관된 시책추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인천시의 버스행정이 주관없이 헷갈리고 있는데도 그 책임이 크다. 버스업계의 주장에 이끌려 버스행정이 이랬다 저랬다하며 일관성을 잃으면 시민들의 불편은 더 가중된다. 대중교통정책은 시민위주로 시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