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교통혁명 GTX
   
▲ 경기도가 제안한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3개 노선 추진이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가 추진하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사업이 정부의 철도망 구축전략과 연계, 추진되면서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이 지난해 11월5일 개최한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 공청회에서 2020년까지 추진될 중장기 철도시설 투자계획(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을 발표하며 GTX 3개 노선을 포함시켰다. 국토부가 GTX노선을 포함한 국가철도망구축계획 확정 및 광역철도 지정·고시와 2011년 말 민간투자심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등의 절차를 거쳐 2012년 착공해 2017년 준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도는 정부의 용역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오자 GTX를 파주, 평택, 양주, 구리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다. 이에 GTX사업의 타당성과 노선연장의 필요성, 향후 과제 등에 대해 알아본다.


경제적 타당성 충분

경기도가 2008년 4월 국토부에 제안한 GTX는 지하 40~60m를 최대속도 200㎞/h, 표정속도(정류장 정차속도를 포함한 평균속도) 100㎞/h로 운행하는 신개념 대중교통수단이다.
GTX는 'Great Train eXpress'의 줄임말로, 'G'는 Great, Green, Glbal, Governance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수도권 교통난을 해결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해 수도권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친환경 교통수단이라는 것이다.
도는 GTX사업을 수도권주민들의 골칫거리인 교통난 해소와 녹색성장 실현, 수도권 경쟁력 강화 등을 이끌어낼 수 있는 1석3조의 혁명적 대안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GTX가 뚫리면 동탄~삼성역은 67분에서 19분으로, 일산~삼성역은 83분에서 22분으로, 신도림~삼성역은 31분에서 13분으로, 의정부~청량리는 31분에서 12분으로 운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는 GTX는 지하철보다 3배, 서울 도심 내에서의 도로교통과 비교해서도 2~3배 빠른 속도다. 결국 수도권 전지역에서 서울 도심까지를 최대 1시간대의 생활권이 가능해진다는 의미다.
GTX는 '속도'를 통한 시간적 이익 뿐 아니라 경제적·환경적 이익도 가져다준다. 도는 GTX가 건설되면 1일 승용차 38만대 통행 감소, 연간 교통혼잡비용 7천억원 절감, 생산 유발 효과 27조원(26만명 일자리 창출), 연간 에너지 5천800억원 소비 절감,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 150만t 감소 등 엄청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 한국교통연구원이 개최한'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대한 공청회에서 각계 전문가들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파주-평택-양주-구리' 연장 추진

도는 정부의 광역급행철도(GTX)사업 용역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오고 한국교통연구원이 개최한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 공청회에서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GTX 3개 노선을 포함시킨 만큼 GTX 노선을 파주와 평택, 양주, 구리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도는 3개로 노선 총 연장 174㎞(KTX 공용노선 28.5㎞ 포함)의 GTX 노선에서 파주, 평택, 양주, 구리, 남양주, 동두천, 안산, 화성까지 확대, 240㎞로 75.4㎞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도는 이를 위해 GTX 노선연장 타당성조사 연구용역을 위한 예산 3억5천만원을 지난해 경기도 2차 추경예산안에 편성, 경기도의회에 제출했었다. 하지만 도의회는 도가 추진하는 GTX 노선연장은 검증용역에서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왔다며 GTX 노선연장 타당성 검토용역비를 전액 삭감 처리했다.
하지만 도는 GTX 노선연장의 필요성을 홍보하고 도의회를 설득해 내년 1차 추경예산안에 노선연장 타당성 검토용역비를 편성,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지역주민들의 GTX 노선연장 요구 여론이 만만치 않고 GTX 본선과 연계 추진해야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김포, 광명, 파주를 비롯한 9개 지자체에서 2기 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대책으로 GTX 연장을 요구하고 있고 올 8월 말 현재 GTX 연장을 요구하는 민원이 1만7천여건에 달하고 있다.
도가 검토 중인 노선연장 구간은 A노선 고양~동탄(74.8㎞)에서 파주·평택까지, B노선 청량리~인천 송도(49.9㎞)에서 남양주·구리까지, C노선 의정부~금정(49.3㎞)에서 양주·동두천·안산·화성까지이다.


GTX 사업, 남은 과제는

도는 국토부의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확정·고시와 2011년 민간투자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 2012년 GTX 실시계획 승인 및 착공 이후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준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도는 GTX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서울, 인천시 등과 협의를 거쳐 GTX사업 추진의 필요성과 예상 문제점 등을 분석, 관련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도는 GTX 3개 노선을 동시 건설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철도네트워크간 시너지 효과 발생과 사업비·운영비 등의 절감은 물론 노선망 일괄 건설에 따른 개발부담금 활용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GTX사업이 노설별로 단계적으로 건설되면 요금과 사업비 증가 등으로 사업 추진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며 "운영시스템의 통일로 효율성을 높이고 수도권 주민들에게 형평성 있는 GTX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도 3개 노선을 동시에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는 재원확보를 위해 민자추진과 정부의 녹색교통 추진 전략과 연계해 GTX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이종철기자 jclee@itimes.co.kr


<입 벌어지는 역세권>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사업과 연계한 GTX 역세권 주변지역 개발가능지 규모가 여의도 면적(8.4㎢)의 10.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대 경기개발연구원 도시지역계획연구부장의 'GTX건설과 경기도 공간개발 연계전략' 연구자료에 따르면 GTX 역사를 중심으로 한 공간개발전략을 검토한 결과 기존 3개 노선과 B·C노선 연장, 입지조정을 전제로 개발 가능한 역세권 면적이 90.292㎢에 달했다. 공간개발에 따른 각 노선별 수요(2016년)는 A노선 13.5%(기존 1일 19만909명→2만6천675명), B노선 54.0%(2만4천751명→3만8천107명), C노선 29.8%(6만6천685명→11만1천671명)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수요는 28만2천345명에서 36만6천454명으로 29.8%가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이 연구부장은 "기존 도시 내 GTX역의 경우 미개발지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린벨트 내 입지(조정)하는 역이나 노선을 연장해 역을 신설할 경우 그린벨트의 해제를 통해 충분한 개발가능지 확보가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