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실리콘밸리」 조성을 목표로 한 인천 송도미디어밸리사업이 출범한지 4년이 지났다. 그런데도 (주)미디어밸리에 대한 출자지분 비율을 둘러싸고 인천시와 (주)미디어밸리간의 갈등과 반목이 갈수록 깊어져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주)미디어밸리는 엊그제 서울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자본금 출자비율을 액면가보다 낮은 주식가치로 25%를 출자하려는 인천시의 출자계획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정했다. 더불어 인천시가 2개월내에 출자범위를 25% 미만으로 한 새로운 제안을 하지않을 경우 송도미디어밸리 사업을 중단하고 사업대상을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96년 12월26일 경제 5단체장 합의로 출범한 송도미디어밸리사업은 송도매립지 가운데 1백만평을 2002년까지 미디어밸리로 만들기 위해 민간과 정부가 공동출자하는 제3섹터방식으로 시도한다는 계획이었다. 가용부지확보가 용이하고 인천국제공항과 연계한 국제교역·금융·정보통신기능을 갖춘 업무수행여건이 충분해 송도신도시가 가장 이상적인 곳으로 평가돼 각 시·도가 치열한 유치경쟁을 벌여온 후보지 14곳 가운데서 선정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사업을 시작한지 3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 출자지분문제 때문에 사업대상지역을 옮기겠다는 발상은 한마디로 어불성설이고 사리에 맞지 않는다. 민간기업의 자율성 침해논리도 설득력이 모자란다.

 미디어밸리사업은 지방의회의 승인을 전제로 한다. 지방의회가 자치단체의 출자와 관련 투명성을 높이고 업무에 대한 감사를 할 수 있게 25% 출자를 의결한 것은 당연하다. 그러잖아도 (주)미디어밸리의 경영부실로 상당액의 자본이 잠식됐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 인천시와 합의한 입주기업선정이나 증자약속도 이행하지 않고 있으면서 자신들의 잇속만 챙기려 한다는 인천시 관계자의 말에 수긍이 간다. 송도미디어밸리개발에 지역업체들이 참여하지 못한다는 비판여론도 적지않다.

그러면에서 송도미디어밸리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지역경제단체·업체·대학교수 등이 참여하는 추진위원회 구성은 바람직하다. 정보화시대를 앞당길 수 있는 송도미디어밸리사업이 국내외적 신인도를 얻어 성공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