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파주지역에서 발생한 수포성 가축전염병 파문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일본정부가 27일부터 한국산 육류에 대한 통관보류조치를 내린데 이어 대만도 한국산 돼지고기와 부산물 등에 대해 잠정적으로 통관보류조치를 내려 축산농가는 물론 관련업계에 큰 타격을 입힐 것으로 우려된다. 젖소의 질병이 구제역일 가능성은 검역당국의 정확한 역학조사가 나와야 판명되겠지만 우선 이 괴질의 확산부터 철저히 차단해야 할 것이다.

 우리가 걱정하는 것은 구제역이 소·돼지·양 등 가축에 대해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지난 20일부터 파주 농가에서 젖소 15마리가 전형적인 수포성 질병 증세를 보여 인근농가의 젖소 105마리를 도살, 파묻었다는 사실만으로도 보통 심각한 상황이 아닌 것으로 짐작이 간다. 구제역등 수포성전염병은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폐사율이 55%에 이르는데다 공기·사료·차량·사람 등을 통해 급속히 전염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발병원인을 조속히 확인하고 전염을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일이다. 지난 97년 3월 대만에서 구제역 발생으로 돼지 4백만마리를 도살, 이로인해 양돈농가가 2조4천억원의 피해를 보았고 수년동안 축산물 수출중단으로 41조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 젖소수질성 질병이 구제역으로 최종 판명될 경우 엄청난 피해를 볼 것은 불문가지다. 돼지고기 등의 수출은 전면 중단사태를 피할 수 없게 되고 국내 소비감소 등으로 축산업이 거의 붕괴사태에 직면할 것으로 우려된다. 따라서 철저한 방역과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정부가 사태에 재빠르게 대응해 인근 농가엔 아직 전염병이 확산되지 않아 그나마 다행스럽다.

 방역당국은 문제의 바이러스가 어떤 경로를 통해 유입됐는지도 정확히 밝혀내야 할 것이다. 현재 구제역 발생국인 중국·대만·태국 등지를 다녀오는 여행객이나 밀수축산물 또는 중국에서 날아온 황사 등을 통해 전염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정확한 유입경로를 밝혀내기란 말처럼 쉽지 않지만 통관·검역작업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 더불어 축산농가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축산물 수급안정을 기해 가격폭락 등의 파동을 막는데 만반의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