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15 우리민족대회-인천亞육상대회 뒷얘기


"사상만 다를 뿐 모든 것이 같다. 일단 만나서 허심탄회하게 대화하면 안될 것이 무엇일까."

   
▲ 지난 2004년 인천에서 열린 우리민족대회.

처음 시의 대북사업을 진두지휘한 A국장과 지역통일단체 B위원장은 인천시 대북사업의 산파역할을 맡았다.
2004년 6·15 4돌기념 우리민족대회, '인천'의 대북사업은 운명과 같이 찾아왔다.
6·15대회 개최지를 놓고, 서울을 뺀 전국에서 관심을 보였다. 광주시의 개최 의지가 제일 컸지만 북측에서 먼 거리 탓에 반대하던 상황이었다. 이 때 인천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A국장과 B위원장은 "대북 사업 추진으로 인천을 대북사업의 전진기지로 성장시켜야 한다"는 뜻이 일치됐다.
6·15 대회를 위해 시가 감수한 금액은 불과 3억원, 시는 이 금액으로 300억원이 넘는 '평화'와 '기회'를 얻어냈다. 시에서는 이 금액도 없어 부랴부랴 긴급 추가경정예산안을 마련했고, 10개 군·구에서 십시일반 지원금을 받았다. 이번에는 강화도 방문이 말썽이 됐다. 우리쪽 군대에서 "이 지역은 접경지역인 만큼 방문할 수 없다"며 마지막까지 허락하지 않았다.
2005년 인천아시아육상선수권대회를 '흥행' 시키기 위해 시는 북측의 선수단과 응원단을 대안으로 삼았다. 대구와 부산에서 각각 이에 대한 재미를 쏠쏠히 봤다.
시의 요청에 북측은 피치 5만t을 요구했고, 마라톤 협상 과정에서 2천t으로 협상이 이뤄졌다. 북측은 "안상수 전 시장의 평양 방문을 허락하겠다"며 피치 5만t을 받기 위한 막판 노력을, 시는 "응원단 파견만이라도 허락하라"며 대회 개최 마지막까지 팽팽한 줄다리기를 펼쳤다.
A국장과 B위원장은 송영길 인천시장의 대북 정책에 "순수한 민간 사업에는 정부가 허락하겠지만 시의 기금 사용과 관련해 정부의 허락받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순수한 대북사업을 추진하라"고 말했다.
/이주영기자 (블로그)leejy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