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항만업계·단체들의 최근 행보가 심상찮다. 상대가 국토해양부와 인천시인 데다 내부적으로 상이한 이해관계로 인해 힘을 합치기가 쉽지 않을 텐데도 이번만은 다르다. 대 정부·자치단체 활동 뿐더러 시민 상대 홍보전도 집단 대응키로 의견을 모았다. 더 관심을 끄는 것은 항만 업계 및 단체의 이런 움직임에 인천상공회의소와 일반 시민사회단체들도 행보를 같이 하기로 했다는 점이다. 이는 무엇보다 우선 국토해양부의 연이은 인천항 관련 발표로 인한 위기감을 지역사회 내 상당 부문이 공유하고 있다는 방증이라 할 수 있다. 실제 대안 없는 내항 재개발이 되고 인천항이 3대 국책항만 대상에서 제외된다면 항만의 물류기능이 마비되고 이렇게 되면 지역경제가 위기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지역사회가 더더욱 충격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은 인천시의 행태이다. 인천시가 부산시 처럼 항만정책을 두고 제대로 고민해 온 적도 없다. 그러하건만 유독 내항 재개발에만 집착한다. 이런 탓에 그 파장 여부는 제쳐두고 자신의 입장을 수용했다는 이유만으로 국토부 시책 발표에 환호했다. 인천항과 지역경제가 죽든 말든 상관치 않고 있다는 비난이 제기되는 것도 이상하다 할 바 아니다.
인천항 문제와 관련한 이번 대치는 공교롭게도 지난 인천대교 안정성 투쟁 때와 비교해 그 진용이 너무도 비슷하다. 당시 중앙정부를 상대로 안정성 보장을 요구했던 시민단체는 항만 업계 및 단체, 일반시민사회단체, 경제단체들이 주축이었다. 인천시는 그 때도 여전히 중앙정부 편이었다. 변함이 없다.
여하튼 인천 항만업계 및 단체, 그리고 시민사회단체가 연대하는 이번 움직임은 여러 모로 그 의미가 크다 할 수 있다. 우선 단순히 정부를 상대로 지역이익을 관철한다는 차원을 넘어 대정부 활동에 미온적이라는 지적을 벗어나 나름 새로운 대응 양태를 모색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여기에 그 해결 여하에 따쳐서는 자치단체의 행태 변화와 더불어 '시민과 함께 함의 중요성'을 각인시키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지역사회의 이번 연대 행보에 귀추가 주목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