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고
동두천 하면 군사도시 기지촌 등이 대명사다. 동두천은 1981년7월1일 양주군 동두천읍에서 시로 승격돼 올해로 28년이 되었다. 동두천은 한때 미군 주둔효과로 달러가 넘쳐나 지역경제가 우리나라에서 몇 손가락 안에 드는 시절도 있었다.

동네에 한두대 있을 TV가 집집마다 있었고 TV수신기가 동두천 하늘을 덮었다. 그러나 박정희 대통령 시절 미군철수 분위기로 지역상권이 초토화돼 상가는 철시되고 공황상태에 빠진 시기도 있었다.

동두천 사람들은 외지에 나가 어디에 사느냐는 믈음을 받으면 동두천에 산다는 이야기를 하지 못하고 천두동에 산다고 한다.

결혼적령기에 있는 여성들은 주소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사례도 많았다. 이런 멸시와 천대를 받아도 꿋꿋하게 살아온 시민들이 있었기에 동두천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어려움을 참고 살아온 우리 동두천을 정부와 정치권에서는 양주, 의정부가 큰 집과 같으니 합치라는 이야기를 하며 합치면 인센티브를 줄 것이고 않으면 불이익이 있을 것이라고 한다.

58년간 온갖 어려움을 참으며 살 때 잘살아보라고 지원을 해주지는 않고 이제 살만 하니까 합치면 아파트값도 올라가고 큰 시의 시민이 되어 좋단다. 정말 합치면 아파트가격이 올라갈까, 큰 시의 시민이 되면 무엇이 좋아질까, 정부에서 각 가정에 보조금을 주어 잘 살 수 있을까, 통합하면 준다는 인센티브는 무엇일까, 여러가지가 궁금하다.

도시는 서울과 연계돼 발전한다. 동두천은 서울에서 의정부, 양주를 지나야 도착한다.

통합이 된다고 동두천이 서울과 인접할 수 없다. 통합시의 변두리에 위치해 쓰레기 소각장 하수종말처리장 등 각종 님비시설이 동두천에 자리를 잡을 수 있다며 통합하면 의정부에 있는 문화예술 등 공공시설을 함께 사용해 비용이 절감된다고 하나 동두천에서 의정부를 가려면 1시간 이상 소요되는데 초스피드 시대에 맞지 않는 논리이다.

통합도 좋고 인센티브도 좋다. 하지만 시민이 바라는 것이 무엇이냐가 중요하다. 동두천의 경우 지난 1994년 양주와 통합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그때도 지금과 같이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이었다. 동두천은 양주와 통합을 찬성했지만 양주시에서 반대해 통합이 안됐다. 통합에 따른 의견만 분분했고 자존심에 상처만 입었다.

작금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의정부만 찬성하지 동두천·양주는 통합에 회의적이고 통합에 따른 실익이 없다는 것이다. 단지 정부에서 준다는 인센티브 정도이다.

이미 43개 자치단체가 통합을 했지만 성공적이지 못하다. 지금도 청사소재지 등의 문제로 후유증을 앓고 있는 실정이니 더는 통합의 장단점을 논하고 싶지 않다.

모든 일에는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다. 그럴진대 시군의 통합을 정부나 정치권에서 밀어붙여 될 일인지 의문이다.

동두천은 경원선복선전철이 개통된 이후 부동산가격이 상승돼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또 미군이 2015년까지 평택으로 재배치되면 반환된 미군기지를 활용, 외국의 유명대학 유치, 첨단산업단지를 조성, 인구 20만 이상의 자족도시로 성장될 것이다.

특히 58년간 미군주둔에 따른 피해보상 차원의 동두천지원특별법이 제정, 시행된다면 동두천의 발전은 급속도로 진전될 수 있다.

정부나 정치권에서 먹고 살기 힘든 현시점에서 시군통합이라는 문제로 소모적인 논쟁을 피하고 국가안보를 위해 희생한 동두천을 위해 동두천지원특별법을 제정, 동두천을 살려야 한다.
 
/한종갑 동두천시사회단체협의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