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측의 공식 부인에도 불구하고 연내 조기 개각론이 설득력있게 대두되고 있다.

 이는 23일 국정원장이 전격 교체된데다 김대중 대통령과 김종필 총리가 22일 청와대 회동을 통해 국민회의와 자민련을 합당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김총리의 당 복귀 시점이 빨라질 수도 있다는 관측에 따른 것이다.

 김대통령이 김총리의 당 복귀를 1월 중순으로 늦추도록 했던 가장 큰 이유가 바로 합당문제 협의 때문이었으나 합당이 무산된 상황에서 이제 개각을 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김총리도 총리 잔류의 명분이었던 정기국회 및 예산안 통과가 모두 끝난 상황이고, 조속히 당에 돌아가 체제정비 및 당세확장 등 총선준비에 박차를 가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일각에서는 특히 인사청문회법안이 통과되기 전에 후임 총리가 임명돼야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후임 총리에 대한 인사 청문회가 실시되면 총리 인준을 둘러싸고 또다시 여야 관계가 경색될 소지가 크며 총선을 앞두고 여권이 뜻하지 않은 난관에 부닥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 여야 총재회담 성사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2여 합당 및 천 원장 처리문제가 조속히 매듭지어진 것은 김대통령이 연내에 가능한 한 정치현안을 털어버리고 새천년을 맞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봐야 한다는 관점에서도 조기개각론은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박준영 청와대대변인은 23일 천 원장의 경질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김대통령은 내년 1월 중순 전에 개각을 할 것이라고 (김총리와의 지난 6일 삼청동 회동 당시) 말한 이후 다른 말이 없었다』며 이같은 관측을 부인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들도 『아직 그럴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만일 김대통령이 연말 개각을 단행할 생각이었다면 천 원장 경질을 잠시 미뤘다가 국면전환을 위한 2기 내각 출범에 포함시켰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여기에 후임 총리 인선도 연내 개각 단행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김대통령과 김총리는 자민련 박태준 총재가 총리를 맡아주길 바라고 있지만 박총재측은 16대 총선을 포기하는 것은 물론 정치적 위상을 확실히 담보받지 못하는 총리 자리로 나갈 생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용우기자〉

yongul@incho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