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에서
얼마 전 인천시의 설문 조사에서 인천 시민의 절반 정도가 인천하면 '인천국제공항'이(46.8%)을 떠올린다고 답했다. '송도국제도시'는 18%로 2위에 머물렀고, 일제 시대 이후 인천이라는 도시의 모태가 됐던 '인천항'은 9.5%로 3위에 그쳤다.

개항 8년을 넘긴 인천공항이 동북아를 대표하는 국제공항으로 그만큼 자리를 잡았다는 뜻이고, 인천 시민들 또한 인천공항을 자랑스럽게 여기기 시작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인천공항에 여전히 '인천'은 없다. 아직 인천공항은 제2의 김포공항에 불과하다. 여전히 인천공항을 오가는 항공기에서 나오는 안내 방송에서 '인천 공항'은 '인천·서울 공항'으로 불려지고 있다. 인천 공항 곳곳에 부산 등 타 지역 홍보물은 널려 있지만, 인천을 알리는 것은 직원 1~2명이 나와 앉아 있는 몇 ㎡ 안 되는 부스 뿐이다. 더 심각한 것은 인천 지역이 인천공항에서 얻어야 할 열매를 제대로 따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천공항을 통해 창출된 일자리 중 단순 노무직을 제외한 첨단·고수익 직종의 인력은 대부분 인천이 아니라 서울이나 일산 등 경기도에 거주한다. 항공사·물류·상업 시설 등 상주업체도 대부분 서울 지역에 연고지를 두고 있고, 인천 지역 업체들은 드물다. 공무원 등 상주기관 직원들도 대부분 '공항 신도시'에 둔 관사에 임시로 거주할 뿐 서울·경기 지역에 주소를 둔 사람이 태반이다.

상황이 이렇게 된 것에는 인천시 등 지역 행정 기관들과 정치인들의 탓이 가장 크다. 지방세 몇 푼 걷는데 만족하고 있는 듯 하다. 제주도가 한국공항공사와 협의해 주민들에게 공항 이용료를 면제해 주도록 하는 사례도 있지만, 인천시나 중구는 못본 체 한다.

요즘처럼 취업이 어렵다는 상황에선 '취업 박람회'와 같이 인천시나 중구가 나서서 인력이 필요한 인천공항공사나 항공사, 물류·면세점 등 업체들과 지역 내 학교·학원 등 인력 양성기관을 연결시켜 주는 행사를 고민해 봄 직도 하지만, 일언반구도 없다.

하다 못해 지역 행정기관들은 인천공항에 해외 여행객들이 각종 등본이나 증명서를 뗄 수 있는 자동 발급기 하나 설치해 두지 않았다. 인천공항을 사실상 '방치'하고 있는 셈이다. 인천 공항은 인천만의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다른 어떤 지방자치단체도 얻지 못한 '인천'의 것이다. 인천 지역 정치인·행정기관들의 다양한 고민과 실천을 기대한다.

/김봉수 사회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