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운영의 자치공사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는 오히려 항만 관련 조직을 축소하는 등 역행하고 있어 항만 자치운영의 의지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로 인해 인천시는 항만자치권을 넘겨 받을 절호의 기회를 놓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1세기 항만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고 도시와 조화로운 발전을 위해서는 민간경영기법을 도입해야 한다고 판단, 우선적으로 인천·부산항에 항만자치공사제를 추진한다는 목표로 내년 4월까지 구체적인 방안을 도출하는 용역작업에 들어갔다.

 따라서 부산시의 경우 오래전부터 막대한 조직을 만들어 중앙정부에서 항만자치권을 넘겨받으려는 작업을 펼치고 있는 반면 인천시는 조직을 축소하는 등 거꾸로 가는 행정을 펴고 있다니 걱정이다. 실제로 시는 민선 2기를 맞아 지난해 9월 1차 행정조직개편에서 항만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해양개발과를 만들었으나 항만관련 성격과는 거리가 먼 검단개발사업을 맡기는 등 우여곡절 끝에 올 8월 단행한 2차 행정조직개편때 아예 없앴다 한다. 그리고 시는 해양개발과 대신 도시계획국 시설계획과 해양팀으로 조직을 대폭 축소시켜 항만운영권 이관업무를 맡기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이는 항만농수산국 밑에 항만정책과와 항만정책, 항만산업, 연안개발 등 1국1과 3개팀에서 18명이 항만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부산시와는 대조적이어서 인천시가 중앙정부에서 관장해오던 인천항 운영을 시주도로 관리하기 위한 시책에 역행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자치공사가 운영되면 해운항만관련사업 등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는 크게 나타날 것이라는 것이 전문인들의 견해다. 또 그동안 항만운영권을 중앙정부가 갖고 있음으로 해서 공해문제 해결 등 도시계획에 지장을 받아온 것이 저간의 사정이다.

 하지만 자치공사제가 도입되면 일관성 있게 도시계획이 추진됨으로써 항만도시로서 인천시의 정체성 확보, 환황해권에 대한 인식, 친수공간확대, 해양레저관광 등 지역의 사회문화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천시는 항만기능과 도시기능을 조화롭게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자치공사제에 대비한 조직을 대폭 강화해야 함을 강조한다. 항만의 기능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주도적인 항만운영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