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과 경기지역 주민들의 경제 활동 추이가 대비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두 지역의 지난 10월중 실업률은 지난 1년 전과 견줘 모두 감소했다. 그렇지만 그 내용은 대조적이다. 경기도는 실업률이 2.8%로 전국 평균인 3%보다 낮았다. 같은 기간 취업자도 15만1천명 늘고 경제활동인구도 13만8천명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4만명이 증가하는 데 그쳐 경제활동인구 증가분 대비 3분의 1 수준에 머물렀다. 고용환경이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은 같은 기간 실업률이 줄기는 했지만 전국 평균보다 물경 0.7%포인트나 높았다. 취업자도 1천명 줄고 경제활동인구도 4천명 감소했다. 이에 견줘 비경제활동인구는 3만9천명이나 증가했다. 신규 노동인력의 80% 이상이 취업하기를 아예 포기했음을 의미한다. 특정 지역의 고용 현황은 그 지역의 경제 사정과 지방정부 정책이 어떤지를 보여주는 지표와 다름없다. 이런 점에서 경기도와 인천시의 정책은 너무도 비교된다 하지 않을 수 없다.

실제, 경기도는 경제 위기가 밀어닥치자 행정을 비상체제로 전환하고 올 4분기 이후 도 예산을 경제 회생과 도민 생활 안정에 투입키로 하는 신속함을 보여 줬다. 인천시는 개발과 이벤트 사업 추진에 연연한 채 비난 여론이 높아지자 뒤늦게 위기 관리에 나서는 모습이었다. 이런 차이가 고용 동향으로 통해 고스란히 드러난 셈이다.

금융 한파가 본격화되면서 지역마다 실물 경제계에 줄도산 사태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우려가 현실화된다면 향후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외환위기를 겪은 터라 새삼 거론할 필요도 없다. 다만 그 파장과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은 역시 행정기관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경기도도 고용동향이 안정화돼 있다는 사실에 안심해선 안 된다. 앞으로 어려움이 더 켜질 것이라는 점에서 대응책을 더 강화해야 한다. 인천시는 더 각성해야 한다. 개발사업도 필요하지만 지금 살고 있는 시민들의 생활고 해결은 더 중요하다. 이제부터라도 일자리 창출 등 서민생활 안정에 발벗고 나설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