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실에서
가을이 되면 신문지면에 어김없이 등장하는 기사가 지역축제 소식이다. 10월이 되면 그 빈도가 더 잦아진다.
 
이같은 추세의 시작은 채 10년이 안된다. 지방자치제 실시와 궤가 같다. 중앙집권의 억눌림 속에서 벗어나 지역으로서 뭔가 해보겠다는 노력의 흔적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세평은 그다지 곱지 않다. 지난 28일 종료된 인천 남구청 주최 '2008년 비전 남구문화축전'이 그 예다. 본보 객원필진은 칼럼을 통해 이 축제 참관기를 이렇게 전했다. "2006년까지는 국제행사로의 시도들이 이루어졌지만 지금은 거리극 하나만이 외국인들이 참여하는 행사로 축소되는 것이 아쉽다."

본보도 지난 주말 매년 2~3개씩 늘어나고 있는 인천의 축제실태를 보도했다. 절제된 표현이지만 그 평가는 매우 부정적이었다. 지역축제의 평이 이렇게 나쁜 이유는 '2008년 인천지역 축제총괄표'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올해 인천에서 열렸거나 열릴 축제는 26개이다. 그나마 이 숫자는 지방정부가 주최하거나 예산 전액을 지원하는 예에 불과하다. 일부를 후원하고 민간이 주최하는 행사까지 포함하면 40개가 넘는다. 지나치게 관주도적이고, 가짓수도 너무 많다.

주최기관별로도 인천시 6개, 중구 4개, 옹진군은 7개나 된다. 여타 지자체도 2~3개씩은 다 연다. 제대로 소화해 낼지 의문이다. 이러니 프로그램이 부실한 건 당연하다. 오죽하면 축제를 좋아할 사람은 자치단체장과 이벤트사 사장, 지역내 이해단체 뿐이란 말이 나돌겠는가.

축제는 분명 필요하다. 지역민이 자랑하고 싶은 축제가 되면 시너지효과는 상상을 초월한다. 성공한 축제가 이를 증명한다. 안타깝게도 우리 축제는 지금 천덕꾸러기 신세이다. 축제라 해봤자 대부분 그게 그것이다. 같은 장소에서 엇비슷한 축제를 놓고 경쟁을 벌이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단체장과 기획자들이 그같은 사실을 알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도 계속 유사한 축제가 양산되고 있다. 이 점이 바로 인천과 경기지역 축제가 안고 있는 핵심문제이다. 지방자치제 실시와 함께 시작된 지역축제도 이제 활성화를 위한 제2단계에 들어서야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가 양(量)의 단계였다면 앞으로는 질(質)을 중시해야 한다. 지역민을 멀리한 채 자치단체장과 경제에만 초점을 맞추는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성공은 요원할 게 뻔하다. 급선무는 역시 자치단체장의 인식변화이다. 초심으로 돌아가 과연 내가 지역민을 위해 제대로 봉사를 하고 있는지 자문해야 한다. 이럴때 지역축제도 성공의 길에 들어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