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환경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인천시교육청이 5개년계획으로 추진해오던 관내 초·중·고 학교의 노후시설과 환경개선을 위한 지원사업이 예산부족으로 차질을 보이고 있다 한다. 더구나 당초 계획했던 학교환경개선사업이 우선순위에서 밀려 상당수 학교가 새천년에도 2부제수업을 면치못하고 낡은 교육환경에서 지낼 처지라니 걱정이다.

 인천시교육청은 관내 각급학교의 노후시설 개선과 교원편의시설 확충을 위해 지난 96년부터 내년까지 5개년계획으로 특별법에 의해 환특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환특재정이 학교 증·개축에 집중되면서 교육편의시설인 난방시설개선이나 책·걸상 및 화장실 개축사업 등이 부진, 사업추진대상학교 370여학교 중 교육환경이 개선된 학교는 겨우 35%에 머물러 있다. 더욱이 시교육청은 환경사업의 마지막해인 내년도에도 4백81억원을 투입, 40여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교육환경을 개선할 방침이다. 이로 인해 나머지 환경개선 대상학교 200여개교의 환경개선사업은 2000년 이후에나 추진이 불가피한데다 소요 예산만도 3천여억원에 이르고, 그나마 예산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니 안타깝다.

 인천시의 교육환경이 최하위 수준이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교육부가 전국 시·도를 상대로 한 교육환경 등 20개 항목에 대한 평가에서 하위권에 머물렀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시설이 인구증가를 따르지 못해 많은 학교에서 2부제 수업을 면치 못하고 있고 학급당 학생수도 41.6명으로 가장 심각하다. 그런가하면 인천지역에서 난방시설을 개선하지 못해 지금까지 땔나무와 갈탄을 사용하고 있는 교실이 790개에 달해 3만여명의 학생들이 먼지와 연기로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은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그런데도 예산이 없어 교육환경개선을 미룬다는 것은 언어도단이다. 때문에 교육청은 인천교육환경이 이지경에 이르도록 그동안 무엇을 했는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인천시와 교육청은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특별예산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정부도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특별교부금으로 지원해야함은 물론 이다. 구시대 책·걸상을 교체하지 않고 건강하게 자라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교육환경이 개선되지 않고서는 참교육도 일궈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