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대리점 하청업체 취급 판매 손발 묶어놔
피해 결국 소비자에 … 선의 경쟁 유도를
"

대리점과 지점, 기아자동차 판매에서 이 두 단어에는 넘을 수 없는 벽이 존재한다.
지점은 기아자동차 판매본부의 직영점이고 대리점은 판매를 대리(代理)한다. 둘다 기아차를 판매하지만 대우와 처지는 하늘과 땅 차이다.
기아자동차대리점협의회 김용구(49·계양대리점 소장) 회장은 대리점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
대우중공업(현재 두산인프라코어)을 거쳐 1986년 기아차에 입사한 김 회장은 1995년 대리점 제도가 생기면서 입장이 180도 바뀌었다.
김 회장은 "정규직에서 마치 하청업체 직원처럼 다루는 옛 동료를 보며 대리점 제도가 갖고 있는 태생적 한계를 절감했다"고 말했다.
대리점은 자동차사의 정규직원으로 일을 하다 회사의 정책으로 독립한 형태를 띠고 있다. 기아차의 경우 직영조직인 300여개의 지점과 430여개의 대리점으로 나눠 영업 중이다. 기아차 일반 판매의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고 대리점협의회는 추정하고 있다.
김 회장은 "관공서는 물론이고 택시회사 마저도 대리점에서의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심지어는 영업장 규모와 직급까지 제한하는 등 제대로된 판촉을 금지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는 기아차와 노조 간 노사합의에 따라 대리점의 손발을 묶어 놓은데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그래서 대리점협의회는 지난 해 6월 공정거래위원회에 거래상의 지위 남용과 상대방 사업자의 영업상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 행위로 문제 제기한 상태다.
"최근에는 대리점 상호에 인천, 계양 등 광역개념과 동서남북 방위개념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해 영업을 할 수 없는 상태"라며 김 회장은 "이래서야 다른 경쟁사와 제대로 된 경쟁을 펼 수 있겠느냐"고 분개했다.
공정위 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김 회장은 "우월적 지위를 통한 경쟁을 제한하는 것은 대리점 종사자들을 파탄으로 몰고 가 결국 그 피해는 기아차 종사자 모두와 소비자에게 돌아가게 된다"라며 "선의의 경쟁을 통한 발전적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용구 기아차대리점협의회장
/김칭우기자 blog.itimes.co.kr/ching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