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제정책의 역점은 물가안정에 모아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관리 이후 우리경제가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환율급등과 국제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불안요인이 상존해

언제 물가를 부추켜 서민가계를 압박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제

자정부터 산업생산과 국민생활에 기초가 되는 에너지값이 사상 최고로

대폭 인상되어 물가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니 걱정이다.

 이에 따라 고속버스 요금을 비롯해 철도요금 등 공공요금이 들먹이고

있고 수도권 상수도요금 및 전기·가스요금도 줄줄이 인상될 전망이어서

시민 가계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초비상이다. 보도에 따르면

SK, LG 등 국내 정유 4사는 국내유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두바이산

원유값이 지난 2월 배럴당 10.07달러에서 이달들어 20달러로 두배 가까이

상승해 휘발유값이 ℓ당 50원이상 인상요인이 발생해 어제 자정부터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국내 휘발유가격은 ℓ당 현재

1천2백10원에서 1천2백30원으로 20% 올랐다. 또 정유사들은 경유도 ℓ당

45원가량, 등유는 55원의 인상요인이 발생, 가격인상을 계획중인 것으로

알려져 서민생활을 위협하고 있다.

 그런데 사정이 이러한때 정부가 그동안 물가상승을 우려해 동결해왔던

공공요금마저 하반기중 단계적으로 현실화할 방침이어서 더욱 참담케하고

있다. 고속도로 이용료가 지난달 23일부터 9.8%인상된 바 있다. 그리고

오는 10월부터 수도권 수도요금이 팔당상수원 물이용부담금을 포함해

25.5~41.2% 인상된다. 그런가하면 철도요금과 고속버스요금도 평균 10%를

연내에 인상해 줄 것을 재경부에 요청해 놓고 있어 하반기에 공공요금이

물가인상을 선도할 요인을 안고있어 우려하는 것이다.

 때문에 공공요금인상은 서민부담을 감안해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

우리 생각이다. 물론 공공요금을 무작정 올리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공공요금인상은 물가불안과 경제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인상폭을 최소화하고 순차적으로 분산해 시행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따라서 물가관리는 공공요금 인상억제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렇지않아도 시민들은 농수산물값 폭등으로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