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경제에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대우그룹 계열사들이

구조조정 이후 이 지역을 떠나거나 폐쇄될 가능성이 커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강구되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주목을 받고 있다. 이같은 주장은

지역경제단체와 정치계 일각에서 대우그룹 채권단 중심으로 구조조정이

되더라도 이전비용등으로 대우계열사의 다른지역 이전은 어려울 것이라는

낙관론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정면으로 배치되는 논리여서 지역사회에

적지않은 파장을 몰고올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시 산하 인천발전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대우그룹구조조정이 인천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이라는 보고서에서 구조조정 이후 대우자동차를 포함해

인천지역에 있는 대우계열사들이 타지역으로 이전 또는 폐쇄할 것임을

처음으로 경고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인천발전연구원은

대우계열사의 이전이유로 인천공장들의 낮은 경제성과 높은 생산 가격,

기반시설 미비등의 부담으로 대우계열사가 지역에 존속하기위해서는

앞으로 추가적인 생산설비확충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우그룹의 현실정은 그동안 계속된 사세확장으로 인해

자금여력이 취약하다고 지적,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단기적으로는

계열사가 지역에 잔류할지 모르나 장기적으로 이전 또는 폐쇄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어 우려케 하고 있다. 인천지역에는 대우자동차 인천공장을

비롯해 대우자동차판매 (주), 대우전자, 대우통신, 대우중공업이 자리잡고

있다. 그런데 대우계열사가 인천을 떠날 경우 대우가 인천에 투자한

자본금 3조7천억원이 사라질 뿐 아니라 1~3차 협력업체를 포함해 모두

14조3천6백42억원의 생산감소가 있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리고

공장이 이전 및 폐쇄되면 직접적인 고용감소는 3만여명에 이르고 협력사,

서비스업까지 합치면 모두 15만명에 이르러 인천지역의 실업률은 22%로

급등, 심각한 사회문제로 비화될 공산이 크다.

 그래서 인천시발전연구원의 경고를 주시하는 이유가 여기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우그룹의 타 지역으로의 이전을 막기 위해서는 인천시를

중심으로한 특별대책반을 구성해 대우그룹과 협력체제를 유지해 나가야

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신속한 구조조정 파악으로 단·장기대책을

마련해야한다. 대우계열사 이전은 지역경제의 사활이 걸려있는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