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그룹 부실문제가 지역경제를 2중 3중의 겹친 시련으로 몰아넣고 있다. 정부의 해결방안은 여전히 겉돌고 있으며 지방정부 또한 지역 나름의 대책을 신속히 세워 이를 효율적으로 밀고 나가야 할텐데 그렇지 못하고 강건너 불구경하듯 쳐다보고만 있는게 아닌가하는 의구심마저 들 정도다. 갑작스런 일이라 약간의 혼선은 불가피하겠으나 우리가 보기에는 대응이 답답할 만큼 느리고 굼뜬다는 판단에서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시는 지역협력업체들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2백억원을 지원키로 하고 지역 금융기관에 신용 보증기간 연장협조를 요청하는 등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했다고 한다. 그러나 인천의 경우 대구보다 협력업체수가 훨씬 많고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데도 불구하고 이렇다할 지원방안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물론 인천시의 입장에서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고 그 배경을 굳이 들춰내고 싶지는 않다. 다만 그로인해 파생될 앞으로의 인천지역경제를 심각하게 우려할 뿐이다. 이래가지고 대우쇼크를 극복해 낼 수 있을까. 많은 시민들은 오늘의 상황이 경기은행 퇴출전야(前夜)와 너무나 흡사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 만큼의 절박한 사정 때문이다. 자칫 잘못됐다가는 그때와 같은, 아니 더 큰 파장이 닥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대우그룹의 주력기업인 자동차 중공업 전자 통신 등이 인천에 몰려있을 뿐 아니라 협력업체수가 4천여개에 이르고 있다. 어디 그 뿐인가. 연간 매출액(협력업체)만도 11조4천억원에 달해 인천지역 제조업체 총출하액의 34%를 차지하고 있다. 당국과 경제 단체는 이 점을 직시해야 한다.

 이와관련 「아직 협력업체에 대한 별도의 지원방안이 강구된 것이 없다」고 밝힌 시관계자의 변을 듣노라면 한마디로 답답하다. 협력업체들은 갈피를 못잡고 표류하고 있는데 누구보다도 앞장서 이를 추스려 나가야 할 관계자들이 이처럼 무중력 상태에 빠져든다면 지역경제 쇠락은 불을 보듯 뻔하다. 다행히 시가 운영하고 있는 경영안정자금 가운데 아직 3백억원이 남아 있다니 우선 급한대로 이 돈을 협력업체 지원자금으로 풀어야 한다. 대우쇼크를 위기의 확산이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의 기회로 삼을 수 있는 것도 우리가 하기 나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