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북부지역의 이번 수해는 지방자치단체의 방심과 무책임한 행정이

피해를 더 키웠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연천·파주 등지의 홍수피해는 지난

96년 7월과 지난해 8월에 발생한 수해상황과 너무나 흡사하다. 따라서

지난 수해를 교훈삼아 재난에 철저히 대비했다면 똑같은 수해를

되풀이하지 않을 수 있었다. 그런데도 당국은 수해재발을 막는다고

큰소리만 쳤지 실상 수방대책은 하나도 되어있지 않았다는 것이 이번

수해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임진강·한탄강 지류인 100여지천의 허술한 수방대책이 해마다

경기북부지역에 수해를 불러온 악순환의 근본적 원인이다. 그러나 당국은

연천군의 차탄천이나 동두천의 신천이 군소하천이란 이유로 관심을 보이지

않아 이 하천들이 범람해 연천읍과 백학면부근 마을이 모두 물에 잠겨

엄청난 수해를 입었다. 동두천 시내를 관통하는 신천도 지난해 수해를

입은후 강폭을 넓히는 공사가 이루어진 구간은 고작 400m에 그친

늑장행정으로 피해를 키운 것이다.

 더욱이 무너진 제방을 복구하는 공사가 50%에 머문 상태에서 수해를

당했고 새 제방쌓기는 공정이 20%에 불과했다니 무책임하기 그지없다.

파주시의 고산천 제방은 복구율이 10%밖에 되지않았다. 또 지난 96년

집중호우때 유실됐던 연천댐도 3년이 되도록 복구되지 않아 공사중이던

물막이 위로 물이 넘쳐 연천읍내 전체가 침수됐다. 수방행정의 늑장으로

빚어진 사례다. 이처럼 수방대책이 허술하기 짝이없는 사례는 한두곳이

아니다. 경기북부지역 주요 하천들이 1년전 물난리를 겪었을 때와

다름없는 수해 사각지대로 방치되어 있었다.

 무엇보다도 임진강·한탄강 지류의 하천이 자치단체의 무분별한 개발로

하천폭이 좁아지고 하천 바닥이 농지만큼 올라갔는데도 준설하지 않아

웬만한 비에도 넘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누구에게 그 책임이

있는지를 묻지않을 수 없다. 장마이후의 집중폭우가 한반도 여름철 기상의

특성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기상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수방대비가 이런 상태에서는 내년에도 이같은 수해는 되풀이 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한다. 수해지역에 대한 실태를다시 점검하고 똑같은

수재가 재현되지 않도록 근본적인 수방대책을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