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내 버스전용차로제가 시행된지 5년이 되도록 정착되지 못해

제기능을 못하고 있는 것은 한심한 일이다. 버스전용차로제는 출·퇴근

러시아워에 대중교통수단인 버스의 소통을 원활히 해 시민들의 편의를

제고하기 위한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이 제도가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첫째로 당국의 관리부재 탓에 있지만 이 제도를

이해하지 못하고 전용차로에 끼어들기를 예사롭게 하는 시민의식에도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인천시가 최근 출·퇴근시 10개 버스전용차로에 대한 운행속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시간당 주행속도가 18㎞에 불과해 지난해의 21.9㎞보다도

3.9㎞나 느려진 것으로 조사됐다. 그중에서도 남동로는 15㎞, 장수로는

14.6㎞로 평균 주행속도가 15㎞에도 못미치는 거북이 구간이란 지적은

버스전용차로가 있으나마나 한 존재로 유명무실해졌음을 보여준 것이다.

 인천 도심의 버스전용차로의 평균 주행속도가 20㎞에도 못미친다는

사실은 인천의 교통환경이 어느정도 열악한지를 짐작 할 수 있다. 물론

이같은 교통혼잡현상은 폭증하는 교통수요에 도로시설확층이 미처 따르지

못하고 있는데 근본원인이 있다. 이처럼 교통시설이 부족한 상황에 해마다

승용차는 크게 늘어 교통혼잡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늘어나는 교통수요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버스·전철 등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률을 제고하는 합리적인 교통관리체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도 버스전용차로가 제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교통정책이 우선 확립되어야 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들이 버스전용차로제를 확대시행하고 있는 것도 심각한

교통난을 해소하기위해서는 대중교통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밖에 달리

뾰족한 대책이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한해 교통혼잡비용이 무려 18조4천억원에 이른다. 그

가운데서도 인천의 교통혼잡비용이 전국 7대도시 가운데 가장 많다는

사실은 인천의 부끄러운 교통문화의 단면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버스이용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과 불편은 승용차 수요를 더 부추겨

교통혼잡을 더 가중시키게 된다. 버스전용차로제에 대한 관리강화와

시민의식제고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