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어민과 수산인들의 관심사인 수협공판장 이관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십수년간 논란만을

거듭해온 공판장 운영권의 이관문제가 뒤늦게나마 해결될 기미를 보이는

것은 다행한 일이다. 지금까지 이런저런 이유를 내세워 공판장 이관문제를

외면해온 수협중앙회측이 인천수협과 협상테이블에 마주 앉았다는

사실만으로도 해결전망을 밝게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인천수협에 따르면 며칠전 수협중앙회측과 공판장 운영권 이관문제를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양측의 이견이 조정안돼 추후 일정을 정해

논의하기로 했다 한다. 이해관계가 얽힌 이 문제에 양측이 협상팀을 구성,

처음으로 공식적인 협의를 가졌다는 것은 그 의미가 각별하다. 물론

공판장 건물과 냉동가공공장 등의 재산이관문제가 그렇게 간단하게

타결되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짐작된다. 하지만 인천수협이나

수협중앙회가 모두 어민의 이익과 복지증진을 위해 존립하는 기관이라면

어민편에 서서 한발씩 양보하고 절충하며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수협공판장의 지역이관문제는 지난 82년부터 제기돼 지금까지 논란을

빚고있는 지역현안이다. 전국에 산재한 수협공판장들이 모두 지역조합에

이관돼 지역어민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운영, 어민소득과 복지증진에

기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천만 유독 중앙회서 직영함으로써 이의

부당성을 지적하며 지역환원을 요구하는 소리가 계속된 것이다. 어민들의

숙원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와도 관련이 깊은 현안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인들

역시 지금까지 일관되게 공판장이관을 주장해온 것이다.

 지난 73년 연안부두에서 개장한 인천공판장은 수산물 공동판매를 통한

위판수수료를 수입으로 흑자경영을 이어왔다. 그러나 지역조합에는 3.6%의

위판수수료 가운데 불과 1.2%만을 배당하고 중앙회가 거의 수입금을 챙겨

어민들의 불만이 쌓여온게 사실이다. 인천공판장은 최근 2~3년전부터

위판물량이 격감, 지금까지 적자운영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하지만

공판장운영 적자는 구조조정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흡수하고 경영합리화를

통해 얼마든지 개선할 수 있다. 인천공판장이 지역어민들에 의해 보다

의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이관문제가 조속히 타결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