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로 편집부국장
 부천시의회가 의장 불신임안 처리를 놓고 소송을 벌이는 등 극심한 갈등을 빚다 지난 9월2일 임시회를 폐회했다. 법원은 8월23일 불신임안이 옳지 않다고 판결을 내렸으나 다수 의원들은 이에 승복치 않고 임시회기 기간 의장의 회의 진행을 막는 등 의회를 파행으로 끌고갔다.
 의장 불신임을 두고 전개되온 최근 행태들의 ‘압권’는 아직도 상황이 끝나지 않은 인천시 남구의회의 경우다. 지난해 9월 남구의회 의장은 출범 2개월만에 표결로 불신임 처리돼 다른 의원으로 교체됐다가 몇달 후 법원의 판결로 뒤집어져 복귀했다. 그러나 일부 의원들은 올해 7월 또 다시 불신임안을 통과시켜 또 다른 의원으로 의장을 교체시켰다. 출범한지 1년도 안돼 의장의 얼굴이 3차례나 바뀌었는데 두번째 자리를 내준 의장이 다시 낸 소송에 대한 판결을 앞두고 있어 언제 또 의장이 바뀔 지 모르는 불안한 상태에 있다.
 인천 계양구의회도 구청장 업무추진비 등과 관련한 특위 활동을 놓고 의장과 의원간 갈등으로 특위가 일시 중단되는 등 파행을 빚고 의장 불신임안을 제출하겠다고 특위의원이 밝히는 등 내분이 심상치 않은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지방의회 구성과 운영에 여러 문제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의회의 잦은 내분으로 인한 파행에 시민들도 넌더리를 내오던 차다. 의장 자리를 둘러싼 자리다툼이나 의장을 둘러싼 내분은 예전부터 많은 기초·광역의회에서 개원부터 시작돼 이제는 시민들에게 낯익은 지방의회 풍속도 중 하나가 되어버린 것이다.
 그런데 그 분열상에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 들여다 보면 공허해지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이 정책이나 이념 대립 쪽이 아닌 감정적인 대립, 개인 신상과 관련된 사소한 것들에서 시작된 것이라고 주변 관계자들은 설명하고 있다.
 의회의 분열이 몰고 오는 심각한 문제는 그 후유증이 의정활동에 있어 회복이 어려운 치명적인 한계를 갖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분열이 깊어질 때 예산심의 등 의회 고유의 업무도 제대로 이행 못해 집행부에 피해를 주는 지경에 이르기도 하는데, 공무원들이 의회를 경계하거나 두려워 하기는 커녕 경시하고 무시할 것이 아닌가. 사회적 갈등이 많은 요즘, 관과 민 사이, 혹은 주민간 화합이 무엇보다 중요한 터에 그 역할을 담당해야할 의회조차 내부 갈등으로 제 앞가림도 못한다면 주민들이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
 지역주민의 관심은 의장에 있지 않다. 지방의회에게 지금 요구되는 것은 풀뿌리 주민들의 의견과 지역여론을 수렴, 대변할 수 있는 역량을 쌓고 이를 통해 실추되온 주민의 신뢰를 다시 쌓아가는 것일이 아닐까.
 시민사회에서 끝임없이 제기되는 기초의회 무용론을 뒤로 하고 지방의원 유급제가 논란끝에 국회에서 통과돼 내년부터 시행된다. 지방의회 유급제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과 정치권의 이해관계에서 전격 통과됐다는 논란과 비판속에서도 유급제가 시행될 수 있었던 것은 그래도 지방자치에 대한 대의와 기대를 져버릴 수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번 정기국회에 ‘지방분권특별법’과 ‘주민투표법 개정안’이 제출돼 있다. 또 정부혁신지방분권위와 지방이양추진위는 중앙부처의 권한(사무)을 대대적으로, 그리고 포괄적으로 지방에 이양하는 작업을 추진하고있다. 분권화 개혁이 이행되면 지자체와 지방의회의 위상은 획기적으로 강화될 것이며 지방의회는 분권을 이끄는 주도세력으로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지방의회 스스로 시대적 소임과 역할을 찾아 똘똘 뭉쳐도 부족한 판국이다. 내분으로 귀중한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할 때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