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만 수도권 주민들의 상수원인 팔당호가 심각하게 오염돼 있다는 사실은 결코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더욱이 정부의 각종 수질보전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질이 나아지기는 커녕 오히려 날로 악화돼 가고 있다니 염려치 않을 수 없다. 때문에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와 팔당호 주변 자치단체들의 수질 개선 의지와 끊임없는 노력이 요구된다.
 정부는 팔당호를 보호키 위해 1990년 여주·가평 등 경기도내 7개 시·군 일원을 팔당 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해 이 지역에서 시행되는 각종 개발 사업을 차단하고 있다. 그리고 1999년부터는 매년 2천500억원 씩을 투입해 한강 수질개선 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런데도 팔당호의 수질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는데 심각성이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팔당호 수질은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이 지난 90년 1.0ppm에서 지난 2002년에는 무려 1.4ppm으로 악화되었다. 더욱 걱정케 하는 것은 팔당호 수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경안천의 수질이 98년 BOD 4.5ppm이던 것이 지난해에는 6.4ppm으로, 왕숙천 수질은 BOD 9.4ppm에서 19.2ppm으로 악화됐다는 사실이다.
 팔당호의 수질 악화는 심각한 문제다. 물경 전체 국민의 절반에 달하는 2천만명이 이 물을 식수원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부는 수질 개선을 위해 그동안 10조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쏟아 붓고 인천, 경기, 서울 등 수도권 주민들도 원인자 부담 원칙에 따라 해마다 수천억원 씩의 물이용 부담금을 내고 있으나 수질이 나아지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는 것은 생존 차원서 곰곰히 따져볼 문제다.
 팔당호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하지만 직접적인 요인은 팔당호 주변에 무분별한 개발로 들어선 위락시설과 음식점에서 흘러보내는 생활하수를 들 수 있다. 팔당호 수질을 보전키 위해서는 주변 자치단체들이 서둘러 하수종말처리장을 증설하는 등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개발을 억제하고 위법 시설에 대해 의지를 갖고 강력히 단속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