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액 채무자를 중심으로 신용불량자 100만명을 우선 구제한다는 대책을 내놓은 것은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적절한 조치라고 평가할 수 있다. 335만명에 이르는 신용불량자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경제·사회적 현안이다. 정부의 대책이 실효를 거둬 신용불량자 문제 해결의 돌파구가 열리기를 기대한다.
 본보는 그동안 신용불량자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여러차례 촉구했다. 300만명이 넘는 경제활동 인구가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하지 못해 우리 경제의 건강성이 심하게 훼손되고 있음은 물론 신용카드 빚으로 인한 흉악 범죄가 하루도 거르지 않고 발생할만큼 사회병리현상도 깊어지고 있어 더 이상 방치해선 안된다는 지적이었다. 정부 역시 신용불량자 문제 해결을 더는 미룰 수 없다는 분명한 상황인식을 갖고 있으리라고 믿는다.
 다만 정부의 이번 신용불량자 구제 대책이 얼마나 실효를 거두느냐가 문제다, 정부는 이전에도 개인워크아웃제도 도입 등 신용불량자 대책을 몇차례 발표했다. 하지만 현실성이 미흡해 효과는 거의 없었다. 물론 이번 대책이 이전의 대책들 보다 구체적이기는 하나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근본적으로 신용불량자 문제는 전(前) 정부의 경기 활성화를 위한 내수 진작책에서 비롯됐다. 내수 진작책으로 신용카드 사용 한도를 대폭 늘려 소비를 부추길 때 신용불량자의 양산은 이미 예고됐었다. 카드를 무분별하게 사용한 일차적인 책임은 당사자에게 있지만 정부와 카드사도 책임을 피할 수는 없다. 굳이 책임 문제를 따지자는 것은 아니다. 피해갈 수 없는 우리사회의 현안이라는 점 자체가 신용불량자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당위이다.
 정부의 이번 대책은 1천만원이하의 단일 금융기관 소액 채무자 81만명에 대해 우선적으로 원리금을 깍아주거나 상환기간을 유예해주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정부의 대책이 획기적인 내용을 담고 있더라도 일선 금융기관들이 실행에 옮기지 않으면 구두선에 그치게 된다. 정부는 일선 금융기관들의 실행을 독려하기 위해 실행 실적을 금융기관 평가에 반영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이번 대책은 꼭 실효를 거둘 수 있도록 정부가 강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