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하천살리기 사업이 여론의 도마위에 오르내리고 있다. 그것도 계획보완을 요구하는 정도가 아니다. 시 부서간 주도권 싸움에 대한 지적에 이어 졸속행정이라는 비난까지 쏟아지고 있다. 사업의 중요성을 감안한다면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다. 시는 오는 2016년까지 시내 모든 하천을 자연생태하천으로 살린다는 방침 아래 우선 올부터 2008년까지 240억원을 들여 부평과 계양구를 가로지르고 있는 굴포천의 친수공간 조성사업을 벌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천살리기 첫 대상사업으로 굴포천이 선정된 것은 이 하천의 하수처리장 차집관거가 오는 6월 준공 예정이어서 이후 물이 흐르지 않으면 수질악화가 우려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이 계획이 발표되자 환경단체들은 우려의 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요컨대 우선순위도, 예산도 없는 계획이라는 것이다. 일례로 굴포천 사업의 경우 예산도 확보되지 않은 채 이를 관장하는 시 건설방제과가 하천살리기사업 주무부서인 수질보전과에 선수를 빼앗기지 않기 위해 서둘러 계획을 발표했다는 것이다. 실제 건설방제과는 굴포천 관련예산을 추경에나 확보하겠다는 방침이어서 사실상 연내 착공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비해 승기천 살리기사업은 이미 예산 53억원이 확보돼 지난해 11월부터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이 진행되고 있어 우선순위를 놓고 혼선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하천살리기 사업을 시민네트워크를 구성해 추진하겠다는 계획과 관련해서도 시민참여 방안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한마디로 현재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된다면 하천살리기는 자칫 졸속으로 흐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친수공간은 시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인천과 같이 바다에 인접해 있으면서도 친수공간은 오히려 날로 축소돼 가고 있는 도시의 경우는 더하다. 이런 점에서 시가 계획중인 친수공간 확충사업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사안임에 분명하다. 설령 그렇다 해도 졸속추진까지 용인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천살리기와 같은 사업은 한번 추진하기도 어렵지만 잘못 시행될 경우 문제개선은 더 힘들다는 점, 각별히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