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도권지역 학교의 집단 식중독 발생으로 학교 급식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먹을거리 안전’문제가 다시 불거지는 등 학교 급식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런 가운데 교육인적자원부가 이달 말까지 전국의 모든 초·중·고교에 ‘학교 급식 실명제도’를 도입하고 일선 학교 영양사 가운데 28%에 이르는 2천여명의 일용직 영양사를 내년까지 단계적으로 정규직화 한다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그러나 도내 일선 학교 관계자들은 지난 98년 이후 영양사의 정원은 거의 늘지 않은 상태에서 지난해말 모든 학교로 급식을 확대 실시하면서 인력 부족 등에 따른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건이 날때마다 임시 방편적으로 정책을 쏟아내기보다는 예산 뒷받침 등 실현 가능한 정책을 입안하고 실천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매년 100여개 이상의 학교가 신설되고 있는 경기지역의 경우 직영 급식을 하고 있는 초등학교와 달리 중학교의 30%, 고등학교의 70%가 예산문제로 외부 급식업체에 위탁 운영하고 있다.
 직영 급식 학교들도 예산문제 때문에 영양사의 45%를 일용직으로 채우고 위탁 급식 업체들 역시 이윤 창출을 위해 싼 원자재 구입과 초임자 영양사를 선호, 위생관리에 한계을 드러내고 있다.
 예산문제 외에도 직영으로 할 경우 학부모와 교사들이 챙겨야 할 부분이 많아지게 되고 이번 처럼 사고가 발생하면 그 책임이 학교 관계자에게 곧바로 돌아가게 돼 학생 보건을 책임져야할 일선 학교마져도 직영 급식을 반기는 곳이 없다는 게 풀어야 할 과제로 남게됐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근본적인 급식 문제 해결을 위해 학교장은 위탁이든 직영이든 수요자중심의 급식 형태로 운영되도록 해야하고 학교나 학부모들의 참여속에 지도감독과 감사기능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안병선기자> bsan@incheo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