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 향상 말로만 되나
 민선단체장시대가 열린 이후 복지사회 구현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는 점점 커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주변환경이나 일상생활을 돌아볼 때 좀처럼 나아졌다고는 느낄 수 없으며 삶의 질도 기대했던 만큼 개선됐다고 볼 수 없다. 인천시가 매년 예선편성 때마다 가용재원을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점 투자하겠다고 강조하면서도 실제로 시민복지를 위한 예산배정엔 인색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삶의 질 향상은 구호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인천시는 내년 예산편성 방향을 당초 시민의 질 향상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데 두겠다고 한 발표와는 달리 경제특구개발을 최우선 순위로 정해 반영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되고 있다. 안상수 시장의 경제특구개발 중심적 사고로 사회복지나 문화·관광 분야는 전체 예산의 1% 수준에도 못미치고 환경, 교통, 문화관광, 교육 등 삶의 질과 관련된 사업이 우선 순위에 밀려 축소되거나 폐기될 듯하다니 여간 실망스러운 게 아니다. 시 관계자의 말처럼 안 시장의 공약사항과 미래발전전략의 사업규모가 시 예산규모를 웃돌 정도라면 그럴 만도 하다.
 물론 시민과 약속한 공약은 마땅히 지켜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선거당시 내놓은 그 많은 공약을 임기내에 모두 해내기란 사실 아무래도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고 자칫 예산을 낭비하기 쉽다. 따라서 임기내에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가려내 현실성 없는 공약은 과감히 정리하고 실현 가능성 있는 공약으로 정리해 시민들의 이해를 구하는 것이 옳다. 경제특구 관련 사업도 마찬가지다. 인천경제특구 추진이 동북아경제권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한 두해에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지역경제발전의 궁극적인 목표는 시민들의 삶의 질과 수준 그리고 만족도를 전제로 해야 한다. 우리의 생활수준이 예전에 비해 나아진 것만은 사실이나 아직도 복지수준은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기본적인 문화기반시설이나 환경 교통시설 등은 시민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엔 미흡하기 짝이 없다. 인천시의 예산운용이 물론 경제성도 중요하지만 시민들의 정신적 문화적 욕구를 복지차원에서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투자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