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상생' 계약 방식 도마에 올라

경기도의회, 고품질 기기 공급 촉구
경기도교육청, 기존 계약 방식 고수
교육 현장선 '선택권 부여' 목소리
▲ 지난 3월28일 경기도 내 한 초등학교에 있는 스마트기기 보관함의 모습. 보관함의 코드가 뽑혀 충전이 되지 않는 채 방치돼 있다. /사진제공=독자

중소기업의 상생발전이 우선일까, 믿고 쓰는 대기업을 위한 계약 방식이 맞는 걸까. 경기도교육청이 추진하는 스마트 단말기 보급사업을 두고 하는 얘기다.

최근 교육현장에선 낮은 사양, 잦은 고장인 스마트기기로 미래교육의 발목을 잡는다는 아우성이 터져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인천일보 3월29일자 1면>[외면받는 교육용 스마트기기] 낮은 사양·잦은 고장…미래교육 발목 잡을라

이러한 가운데 지난달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황진희(더불어민주당) 위원장의 지적과 경기도교육청의 추진하는 계약 방식이 충돌했다.

지난달 20일 황 위원장은 도교육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업무보고에서 단말기 구매 정책과 예산 부분이 제대로 운용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 위원장은 “2022년 추경예산에 학생을 위한 태블릿PC 보급 사업을 위해 2787억원을 편성, 5년 유지·보수까지 가능하도록 당초 50만원이던 예산을 70만원으로 인상해 줬지만 도교육청이 제대로 사업을 진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 이유는 예산 편성 당시 품질 좋은 물건을 보급하라는 취지에서 협상에 의한 계약을 추진하라 했지만, 도교육청이 다수공급자 계약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했다는 것이다.

황 위원장의 주장처럼 다수공급자 계약 방식은 품질과 성능, 효율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종류의 물품에 대해 가격 협상이 이미 된 모든 적격자와 계약 체결을 하는 방식인데, 이 부분에 오류가 있었다는 주장이기도 하다.

황 위원장은 특히 도교육청 계약 방식에 대해 “중국산 부품으로 조립된 낮은 품질의 PC가 공급된 뒤 유지·보수도 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경기도교육청의 입장은 다르다. 앞서 인천일보의 기사에 대한 해명에서 도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현장에서 저사양 문제를 지적하는 건 알고 있지만, 실제 보급된 모델들을 비교해봤을 때 실질적으로 수치가 떨어지진 않는다”며 “사용하며 느끼는 속도 차이는 미묘한 부분”이라고 했다. 이어 “사양에 대한 최소 기준 가이드를 주고 있고 이를 충족한 기기들이 들어오고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도교육청은 2021년과 2022년 스마트기기 보급사업의 계약 방식을 마스(MAS)로 입찰을 진행한 것과 관련해 비난도 나오고 있지만, 타 교육청의 모범적 사례라는 평가도 받은 바 있다.

결국, 대기업 제품이냐, 중소기업 제품이냐를 놓고 '보급 전쟁'을 벌이고 있는 것인데, 이 같은 논란에 교육 현장에선 '선택권 부여'가 답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복수의 교사들은 “계약 방식을 둘러싼 논란에서 벗어나 성능, 품질이 우선돼야 한다”며 “선택권을 학생들에게 부여하면 다툼이 사라질 것"이라고 했다.

/김영래 기자yrk@incheonilbo.com



관련기사
[외면받는 교육용 스마트기기] 낮은 사양·잦은 고장…미래교육 발목 잡을라 28일 오전 고양시 한 초등학교 교실.스마트기기에서 VR(Virtual Reality) 기술을 활용한 앱을 다운받아 수업을 진행하려던 교사 A씨는 느려터진 다운로드 속도에 결국 수업을 중단했다.앱 하나 다운받는데 3시간 넘게 걸렸다. 교육도구로써 활용은커녕 단순 작업도 어렵다는 게 A 교사의 증언이다.문제의 스마트기기는 최근 교육지원청으로부터 보급 받은 태블릿PC로, 국내 중소기업에서 출시한 제품이다.해당 제품은 평소 무선 인터넷 연결이 자주 끊기고 화면이 멈추는가 하면, 전용 펜으로도 화면 터치가 반 박자씩 느리게 작동해 학생들의 경기도교육청, 태블릿 PC 보급 사업에 '메스' 경기도교육청이 낮은 사양과 잦은 고장, 계약 방식으로 비난받던 '태블릿PC 보급 사업'을 개편한다. 도교육청은 현장 의견 수렴과 전문가 상담을 통해 올 하반기에는 계약 방식과 하자보수 부분 등을 바꾸는 실무 검토에 돌입했다.<인천일보 3월29일·4월10일자 1면>27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기존의 다수공급자계약(MAS) 방식이 아닌, 기술 및 가격 평가를 할 수 있는 다각적인 계약 방법과 발주 방식, 발주 주체 등에 대한 전환을 검토 중이다.경쟁 입찰 방식을 포함해 생활권역별로 지역교육지원청 단위로 공동계약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