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2021년부터 초중고 학생들에게 스마트기기를 보급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6년까지 전 학년 학생들에게 스마트기기를 제공해 인공지능(AI) 기반 미래교육 인프라를 완성할 계획이라고 한다. 2021년에 1818억 원, 2022년 1429억 원, 올해 2715억 원 등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사업이다. 이미 일부 학년 학생들에게는 태블릿PC가 공급되었다.

문제는 교육 일선에서 보급된 스마트기기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온다는 사실이다. 교육용 앱 하나를 다운 받는데 무려 3시간이나 걸릴 정도로 사양이 낮다는 교사와 학생들의 불평이 나오는 실정이다. 무선 인터넷 연결이 자주 끊기고, 터치 펜 반응이 반 박자 느리다는 지적도 많다. 고장이 나서 수리를 하려면 택배로 제품을 보내고 받아야 한다는 애로도 있다. 도교육청이 보급한 스마트기기는 사양 기준을 충족한 중소업체 제품이라고 한다.

과거 학교현장에 컴퓨터를 공급하고 인터넷 교육을 강화하는 과정에서도 낮은 사양과 잦은 고장으로 물의가 빚어졌었다. 교사들이 컴퓨터와 인터넷 활용교육을 진행할 준비가 덜 된 탓에 공급된 컴퓨터들이 고철 덩어리로 방치되다 폐기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그런 시행착오를 스마트기기 보급과정에서도 다시 겪어서는 곤란하다. 도교육청은 선례를 충분히 복기해서 충분히 준비하고 대비한 다음 스마트기기 공급에 들어갔어야 한다.

학생들은 말을 배울 나이부터 디지털기기와 접촉하며 자란 세대다. 학교에서 주는 태블릿PC의 반응속도가 느리면 스마트교육이 제대로 이뤄지겠는가. 학생과 교사로부터 외면 받는 기기를 사용하면서 '디지털격차', 'AI격차' 없는 미래교육을 하겠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보급된 모델이 성능이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거나, '사용하며 느끼는 속도 차이는 미묘한 부분'일 뿐이라고 일축할 일이 아니다. 이제라도 현장을 재점검하고, 사양 기준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AI기술의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른 만큼 그 점까지 고려해서 기준을 설정해 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