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 챗지피티(ChatGPT) 시대다. 인터넷·스마트폰에 이어 지식혁명 시대를 이끄는 챗GPT의 공공기관 도입 논의도 활발하다. 챗GPT를 통한 주민 응대 서비스의 개선, 창업·일자리 창출 지원, 시민참여 및 의견수렴, 문서 자동 분류 및 요약, 인공지능 기반 정책 추천 시스템 구축 등 장점이 부각되면서 경기도를 비롯한 자치단체에서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는 챗GPT 흐름에 가장 빨리 대응 중인 지방자치단체다. 김동연 지사는 최근 'GPT 혁신포럼'에서 챗GPT가 작성한 연설문을 통해 “대한민국 경기도지사로서 오늘 이 자리에서 여러분과 함께 인공지능의 미래를 준비하겠다”면서 ▲경기도 모든 학교에 인공지능 교육 도입 ▲지역 내 소규모 사업자와 스타트업dp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창업·일자리 창출 지원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로 공공기관 행정 업무 효율성 상향 ▲인공지능 기술에 따른 사회적 영향과 윤리적 쟁점 고려 등의 과제를 제시했다. 경기도는 GPT 육성을 위해 '미래성장펀드' 500억원을 조성하기로 했다.

화성시도 챗GPT를 활용한 스마트 행정을 추진하면서 ▲행정정보 외국어 지원 ▲연구용역 보고서 요약 및 활용 ▲챗GPT 현장활용TF 운영 ▲전 직원 대상 교육 등 4대 중점과제를 제시했다. 과천시는 지난 23일 챗GPT를 행정서비스와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 직원 대상 챗GPT 특강을 실시했다.

챗GPT는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으로, 딥 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서 학습하고 다양한 주제와 시나리오에 대해 사람과 같이 대화형으로 반응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챗GPT가 공공행정에 성공적으로 접목하려면 일자리 불안, 지식 격차의 확대, 차별적 편향성, 저작권이나 표절 문제, 윤리적 논란 등 선결조건이 있다. 특히, 인간의 정체성과 지식 노동의 정의 등 인간 중심의 공공복리의 관점에서 인간과 AI의 새로운 공존 방법을 먼저 논의해야한다. 공공기관이기에 기술 혁명의 긍정성 못지않게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는 윤리적인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