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용석의 지구촌./인천일보DB
▲ 신용석의 지구촌./인천일보DB

거산(巨山) 김영삼 전 대통령을 만나 단독으로 대화하기 시작한 것은 1987년부터였다. 당시 조선일보사 사회부장을 맡고 있던 필자는 민주화 투쟁으로 요동치고 있던 대한민국의 상황과 미래를 논의하면서 그가 지닌 덕목(德目)을 감지할 수 있었다. 혼란 속의 정계에서 민주당을 이끄는 거산에게 마산에 계신 아버님을 자주 찾아뵙는 게 좋겠다는 진언을 드렸고 그 후 거산은 매달 한 번씩 아버님 김홍조옹을 찾아 인사를 드렸다.

▶6월 항쟁으로 대통령 직선제 등을 성취한 야권에서는 1988년 초에 실시된 총선거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정계 진출을 권유하는 김영삼 전 대통령의 제의를 수락하지는 못 했지만 그가 일생 추구하고 있던 민주화의 길에는 항상 함께하겠다는 뜻을 성심껏 전했던 기억이 새롭다.

▶1990년 '호랑이를 잡기 위해 호랑이굴에 들어간다'면서 거산이 3당 통합을 결단했을 때 관훈클럽의 총무(회장)를 맡고 있던 필자는 롯데호텔 지하에 있던 일식집에서 그를 단독으로 만났다. 근 40여년의 정치역정을 통해서 독재와 군사정권 타도를 외쳤던 분이 어떻게 군사정권의 정당과 합당을 할 수 있느냐는 비판적인 질문에 거산 김영삼 전 대통령의 대답은 간단하고도 명료했다. 빌리 브란트 서독 총리의 대연정(大聯政)이나 고르바초프 소련 서기장의 글라스토스트(개방)와 페레스트로이카(개혁)를 보면서 남북으로 분단된 우리도 발상의 전환을 해야 된다는 논리였다.

▶필자는 그 후 인천에서 선출직 공직자를 지망하면서 김영삼 전 대통령과 함께하지는 않았지만 간단명료하고 솔직담백하며 동지를 아끼는 그의 인품과 인간미를 계속 흠모하고 있었다. 대통령 퇴임을 열흘 정도 앞둔 1998년 2월 필자를 청와대로 초청한 거산은 선거 때 뜻을 못 이룬 것을 위로하면서 하나회 해체와 실명제 실시와 재임 중에는 “재벌들에게는 한 푼도 안 받았다”고 했다. 그로부터 9년 후 인도의 뉴델리와 힘겨운 유치 경쟁 끝에 아시안게임이 성사된 후 상도동으로 찾아뵙고 인사를 드리니 “신 위원장이 오랜만에 당선되었네요”라면서 무척이나 기뻐하셨다. '성공' 대신 '당선'이라며 축하해 주신 것은 또 다른 의미가 있는 것으로 느껴졌다.

▶지난주 국회에서는 민주화 추진협의회 주관으로 '민주화와 문민정부 출범 30년 기념 세미나'가 열렸다. 김덕룡 민주협 이사장은 “문민정부 30년의 역사는 대한민국 민주화 30년의 역사와 궤적을 같이한다”고 했고 권노갑 이사장은 “진정한 민주화는 1993년 김영삼 대통령의 취임으로 성취되었다”고 말했다. 민주화 운동 당시 낯익은 인사들이 다수 참석한 기념 세미나에서는 “부정 수단으로 권력이 생길 때 국가의 정통성이 유린당하고 법질서가 무너진다. 이 나라에 다시는 정치적 밤은 없을 것”이라던 거산 김영삼 전 대통령의 취임사 구절이 회상되었다.

▲ 신용석 언론인.<br>
▲ 신용석 언론인.

 

/신용석 언론인



관련기사
[신용석의 지구촌] 1083회. 산티아고에서 본 칠레의 선거혁명 1970년 9월 칠레에서 살바도르 아옌데 사회당 후보가 대통령에 선출되면서 전 세계의 관심은 라틴 아메리카로 집중되었다. 1959년 피델 카스트로가 바티스타 친미 독재정권을 타도하여 쿠바 혁명을 성공시키고 그와 함께했던 체 게바라가 제3세계에 해방의 꿈을 실현하려다 볼리비아에서 사살당하면서 절망감에 빠져 있던 라틴 아메리카에서 새로운 가능성이 보였기 때문이었다. 게릴라전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선거를 통해서 독재정권을 타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칠레는 전 세계 진보주의적 지식인들의 소망이 결집한 성지가 되었다.▶프랑스에서 조선일보사 [신용석의 지구촌] 1082회. 한국의 무기 수출과 우크라이나 전쟁 캐나다 중서부의 캘거리를 처음 찾았던 것은 1991년도 초였다. 캐나다 관광공사의 초청으로 남쪽은 미국과의 국경이고 북쪽은 북극권까지의 큰 영토를 가진 캐나다 곳곳을 둘러보면서 국토의 광활함과 다양성도 놀라웠지만 다양한 인종이 각기 그들의 언어와 풍습을 간직하면서 사는 것이 놀라울 뿐이었다. 퀘벡주에서는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되어있는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지역마다 각기 다른 출신국의 언어와 관습을 유지하면서 지내는 것을 '모자이크 문화'로 표현하고 있었다. 다양한 인종을 용광로에 넣어 미국인으로 만드는 미국과는 또 다른 [신용석의 지구촌] 1081회 미네소타 프로젝트 70주년 '옳다고 생각하면 행동하라'는 신념으로 의료인 출신으로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직을 수행하다가 서거한 이종욱(1945~2006) 박사는 라오스에서도 잘 알려진 인물이었다. 인천 아시안게임을 유치하고 준비하며 몇 차례 라오스를 찾았을 때 지도층 인사들은 이종욱 프로젝트에 대해 감사의 말을 아끼지 않았다. 2010년 케올라 주한 라오스 대사로부터 우호훈장을 받을 때도 '이종욱-서울 프로젝트'를 언급하던 기억이 난다. ▶어려운 시기에 우리가 여러 나라와 국제기구로부터 도움을 받았고 이제는 도움을 주기 위 [신용석의 지구촌] 1080회 '직지심체요절'과 나의 인연 파리의 증권거래소와 루브르박물관을 연결하는 리슐리외 거리에 있는 프랑스 국립도서관은 1368년 샤를 5세가 루브르 궁전에 설립한 왕립도서관을 기원으로 삼는다. 국립도서관이 비약적으로 성장한 것은 나폴레옹 때였다. 황제 나폴레옹은 국립도서관에 없는 지방도서관의 서적을 모두 파리의 국립도서관으로 보내야 한다는 특명을 내렸고, 유럽 각지를 정복하면서 귀중한 도서를 전리품으로 도서관으로 가져왔다. 1868년 왕립도서관 창립 500주년이 되는 해에 리슐리외 거리에 웅장하고 기품 있는 도서관 건물을 완공했다.▶필자가 프랑스 국립도서관을 처음 [신용석의 지구촌] 1085회. 이란과 사우디의 극적 화해 1978년 9월 워싱턴의 켐프데이비드에서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과 베긴 이스라엘 총리 간에 조인된 평화협정은 아랍과 이스라엘의 분쟁을 종식하기 위한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의 진지한 설득과 협상을 통해서 타결된 캠프데이비드 협정은 14일간의 비밀협상 끝에 아랍이 이스라엘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스라엘을 점령지에서 철수시킴으로써 평화를 정착시킬 수 있었다.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1967년 6일 전쟁을 조선일보 외신부 기자로 지켜보며 기사를 썼고 1973년 욤 키푸르 전쟁을 현지에서 종군기자로 취재했던 필자는 중동 평화 [신용석의 지구촌] 1086회. 여주인 실비아와 셰익스피어 서점 아마존닷컴은 1995년 7월 인터넷 서점으로 출발했다. 창업자 제프 베조스는 인터넷의 대중화 초기에 사업을 시작해서 온라인 사업만으로는 수익 창출이 힘들었던 시기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서점에서 출발해 세계 최대의 유통회사로 확대 발전시켰다. 아마존 서점은 독자의 도서구매 행위를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해서 관심 있을 책을 추천하는 마케팅을 성공시켰다. 2007년부터는 전자책 보급을 활성화해 종이책 판매를 능가하기도 했다.▶미국의 아마존보다도 먼저 서점의 대형화와 할인 공세를 통해서 기존 서점의 기반을 잠식하기 시작한 것은 프랑스 [신용석의 지구촌] 1087회. 피츠윌리엄 박물관의 결단 1979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경제사를 연수하던 필자는 1546년 헨리 8세에 의해 개교된 400여년이 넘는 대학의 장엄한 분위기에 숙연해짐을 느꼈다. 대학 식당의 벽에는 뉴턴과 다윈 같은 졸업생들의 대형 초상화가 걸려있었고 30여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대학의 학문적 깊이가 강의실을 비롯해 곳곳에서 느껴지기도 했다.▶트리니티 칼리지 옆에 위치한 피츠윌리엄 칼리지의 박물관은 1816년에 창립된 영국에서는 물론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50만점의 소장품을 자랑하는 박물관이었다. 강의가 끝난 후 자주 찾아보던 피 [신용석의 지구촌] 1088회. NYT가 보는 미국-중국 전쟁 위기 지난주 뉴욕타임스(NYT) 머리기사는 '중국과 미국 간의 전쟁을 어떻게 피할 수 있을까'였다. NYT의 대표적인 칼럼니스트로 도쿄와 베이징 특파원을 역임할 때 서울도 자주 왔던 필자인 크리스토프와 만나 대화하면서 그의 폭넓은 관심사와 현장 취재를 원칙으로 삼는 언론인으로서의 자세에 공감하기도 했다. 1987년 6월 항쟁의 현장에서 그는 '민주주의를 굳세게 지향하는 한국의 미래를 밝게 본다'고도 했다.▶크리스토프는 1914년 아무도 세계대전이 일어나리라고 예상하지 못했지만 결과적으로 헝가리에서 살고 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