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8만명대서 지난해 7만명대
저출산 고령화·지역별 불균형 심화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성평등' 제언
경기도, 종합대책 수립 일환 토론회

매년 인구가 급증하는 경기도에서 아기 울음 소리가 사라지고 있다.

인구 1400만명 돌파를 앞둔 경기지역의 출생아 수가 5년 전에 비해 1만명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 예정인 지방자치단체가 늘고 있다.

22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해 도 인구는 1358만9432명으로 2018년 1307만7153명보다 50만명 이상 늘었다. 2019년 1323만9666명, 2020년 1342만7014명, 2021년 1356만5450명 등 매년 늘고 있다.

반면 출생아 수는 2018년 8만8175명, 2019년 8만3198명, 2020년 7만7737명, 2021년 7만6139명, 2022년 7만5300명으로 5년 만에 1만명 이상이 감소했다. 2000년(14만1704명)과 비교하면 20여년 만에 출생아가 절반이나 줄었다.

도내 지자체 가운데 부천·광명·구리·포천시, 연천·가평군 6곳은 최근 5년간 출생아가 약 30% 줄었다. 부천·광명시를 제외하면 나머지 지역은 모두 북부지역이다.

출생아는 적고 인구 유입은 많아 고령화가 심해지는 지역도 있었다. 화성시는 출생아 수가 약 10% 감소했다. 인구수는 20% 증가했다. 60세 이상 인구 수도 2018년 72만2051명에서 2022년 89만6463명으로 5년새 17만명이 늘었다

이처럼 도에서는 지역 간 인구 불균형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저출생 관련 보고서를 통해 “지금까지 인구정책이 저출산과 고령화의 속도를 '완화'하는 데 초점을 뒀다”며 “앞으로 인구변동으로 인한 미래 상황에 '적응'하고 저출산 상황에서도 국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미래를 '기획'하는 방향으로 수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저출생 대응 정책은 변화하는 사회와 가치관에 따라 가족생활의 성평등 지원과 성평등한 노동시장 환경 조성에 초점을 둬야 한다”고 제언했다.

도는 복합적 원인에 의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쉽게 답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지역 불균형에 대한 원인을 단편적으로 말하긴 어렵지만 저출생·고령화 현상으로 지역 간 편차가 생기고 또 지역 간 편차로 이러한 현상이 생긴다”며 “굉장히 복합적인 부분으로 현재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있다”고 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이날 '2023년 경기도 인구정책 토론회' 열고 실제 임신·출산·육아 경험자 등과 '저출생 해법안'을 주제로 자유토론을 실시했다. 토론회는 종합대책 수립의 한 과정으로, 올해 상반기에 발표될 예정이다.

김 지사는 “(제가) 정부에서 저출생 해결을 위해 여러 가지를 해봤지만, 솔직히 말씀드리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며 “사회 모두가 힘을 합쳐 문화, 인식, 사고방식 심지어는 사회시스템 자체를 바꿔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정해림 기자 sun@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