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5명 생활…20%는 장애아동
비장애·장애 분리안돼 관리 난항
정부 보육사 배치 권고 실효성 無

“ADHD 아동 1명에 쏟는 시간
비장애 아동 5명에 견줄 정도
도 “종사자 추가배치 방법 고민”

경기도내 아동양육시설에는 비장애아동 못지 않게 장애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경계선 장애( IQ 75∼85) 아동들도 20% 넘게 입소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을 돌봐야 할 보육사 수가 크게 부족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1일 더불어민주당 이채명(안양6) 경기도의원이 경기도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수원·안양·평택 등 도내 15개 시군, 25개 양육시설에서 905명의 아동이 생활하고 있다.

이중 장애인 등록 아동은 65명, 경계선 장애 아동 등은 150여명 가량이다.

경계선 장애 등 아동 현황은 전수검사를 통해서 확인된 수치가 아니라 인원은 더 늘어날 수 있다.

문제는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이 분리돼 있지 않고, 다수의 시설에서 장애아동 등을 관리하는 보육교사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일례로 안양시의 한 양육시설에 생활하는 중증 지적장애 초등학생은 담당 보육사가 도보나 차량을 이용해 매일 등·하교를 시켜줘야 한다.

이렇다 보니 등·하교시에는 해당 보육사가 한 생활동에서 함께 관리하는 다른 아동들은 타 생활동 보육사에게 지도를 부탁하거나 타 생활동을 보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br>

이에 정부가 ADHD·경계선 지능 아동에 대해서도 2명당 1명의 보육사 배치를 권고하긴 하지만 이는 말 그대로 권고일 뿐, 일선 현장에선 실효성이 없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하소연이다.

2년차 보육교사인 A씨는 현재 7세 초등학생부터 19세 고등학생까지 아동 6명을 한 집(숙사)에서 돌보고 있는데, 이 아이들 중에도 (충동 조절) 약물치료 등을 받는 ADHD 아동이 2명 있다.

A씨는 “자리에서 집중이 잘 안되고, 말을 끊임없이 하거나 몸을 끊임없이 움직인다”며 “ADHD 아동들의 특성상 행동이 과해지면 아이들을 케어 하기 힘들다”고 했다.

다른 보육교사들도 한 목소리로 “보육사들 사이에서 중증의 ADHD 아동 1명에게 쏟는 시간과 에너지는 (비장애 아동) 5명에 견줄 정도”라며 “장애아동 등이 분리되거나, 보육사 증원 등 시설이 개선돼야 한다”고 했다.

이같은 애로사항은 장애아동 등을 키우는 도내 양육시설들에서 흔히 나타나는 문제 가운데 하나다.

하지만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 분리(전원)조차 쉽지 않다.

실제 수원시에 있는 한 아동양육시설에선 뇌병변과 지적장애를 동시에 가지고 있던 한 고등학생을 10년 만에 타 지역 소재 아동재활원으로 보낼 수 있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시설 내 경계선 아동을 분리하는 것은 당장 어렵지만, 종사자를 추가로 배치하는 부분은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성우 기자 sungcow@incheonilbo.com



관련기사
[변화가 답이다, 위기의 양육시설] '상' 아동양육시설의 현주소 부모의 학대 등으로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이들의 마지막 보금자리라 할 수 있는 아동(0∼18세)양육시설.경기도 내 일부 양육시설(2023년 기준 총 25개소)의 운영 상황은 녹녹치 않다. 시설 특성상 아이들을 24시간 케어해야 하지만 3교대 근무 보육사(생활지도원)을 채용하는 데서부터 애를 먹는다.특히, 장애인 거주시설이 아님에도 장애아동까지 보살펴야 하는 아동양육시설도 적지 않다.정부 지원이 있기 전부터 뜻있는 설립자들의 각고의 노력으로 사각지대에 놓인 아동들을 돌보는 한 축을 담당하고 있지만, 그만큼 말못할 애로사항도 많다.아 [변화가 답이다, 위기의 양육시설] '하' “장애아동 전담 시설 필요”…지자체 예산 확보 숙제 경기도내 아동양육시설장들은 지적·언어장애,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경계선 장애 아동(IQ 75∼85) 등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아동복지 전문가는 예산과 전문 전담시설 확보 등을 개선책으로 내놨지만 법 개정 등과 맞물려 있어 해법 모색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22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내 25곳 아동양육시설장은 지난달 열린 정담회에서 시설의 애로사항을 경기도에 전달했다.우선 아동양육시설에서 장애판정을 받은 아동은 장애인 거주시설로 옮길 수 있게 시설 증원 등을 요구했다.또 어렵게 장애인 거주시설에 들어가더라도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