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검단 분구 고려한 큰 그림 그려야(끝)>

신도시, 규모 비해 앵커시설 부족
이익에 집중한 공동주택 사업
난개발 우려…지자체 관리 필요

바이오 등 미래산업 생태계 구축
체계적인 도시개발 계획 세워야

검단 분구 추진으로 인천 북부권 개발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뜨겁다.

북부권이 하나의 독립 구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도시개발 계획이 나와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사회기반시설 확충과 미래 먹거리 산업 생태계 구축 등 개발방향에 대한 종합적인 밑그림을 그린 후 민간개발 사업들이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해 8월 인천시는 28년 만에 행정체계 개편을 선포했다. 현 2군·8구 체계에서 오는 2026년까지 중·동구를 합쳐제물포구를 만들면서 영종구와 검단구를 신설하는 2군·9구체계로 바꾼다는 구상이다.

▲ 인천 북부권 민간도시개발 사업지 중 왕길 1구역(왼쪽)과 검단 3구역(오른쪽) 전경.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 인천 북부권 민간도시개발 사업지 중 검단 3구역 전경.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검단구 신설로 현재 북부권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소규모 민간도시개발 사업들이 정비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개편에 따른 행정서비스 등 공공 인프라가 지역 여건에 맞게 설정돼야 시민 삶의 질이 보다 윤택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한구 시정혁신단 위원은 시가 수립 중인 북부권 종합발전계획 용역에 민간도시개발 사업과 연계한 사회기반시설 공급계획이 담겨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위원은 “검단신도시의 경우 공공개발로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있지만, 규모에 비해 앵커 시설은 부족하다”며 “공공개발 사업도 이런 상황인데 인근에서 진행되는 민간개발 사업들은 난개발 우려가 더 크다. 민간 사업자가 개발 이익을 노리고 사업을 하면 공공 인프라에 대한 책임은 지자체로 넘어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요로하는 공공부지들에 대한 수요 파악을 충분히 해 협상 등을 해야 한다”며 “북부권 종합발전계획 용역이 중요한 이유다. 용역 완료까지 3개월이 남았는데 용역 기간을 연장해서라도 이런 내용을 충분히 담아야 한다. 또 북부권 건설폐기물에 처리에 대한 부분도 함께 검토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미분양 사태가 속출하는 현시점에서 공동주택 건설이 곧 도시 경쟁력이 아니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지역 특성을 고려한 개발이 지역 경쟁력이라는 것이다.

서종국 인천대 도시행정학과 교수는 “단순히 도시개발 사업을 개발 이익에만 한정해 보게 되면 난개발에 치우칠 가능성이 높으니 공익 관점에서 봐야 할 필요가 있다”며 “단기 개발 이익에 집중한 과도한 공동주택 개발은 지자체에서 통제 관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인천 입장에서 북부권이 남아있는 유일한 개발 용지인 만큼 잘 활용해야 한다”라며 “경인아라뱃길 등 비교적 우수한 환경들의 훼손을 막고 조화롭게 안고 가야 한다. 그리고 멀리 내다 보고 첨단 산업, IT, 바이오 등 새로운 미래 산업 생태계를 유치하는데 시에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북부권종합발전계획 전면 수정을”

인천 지역 환경 시민단체 성명서...지역균형발전 지원 등 담아야

인천일보 '막가는 북부권 도시개발' 기사와 관련, 인천 지역 환경·시민단체가 북부권 종합발전계획이 미흡하다며 전면 재조정을 촉구했다.

환경단체 글로벌 에코넷과 인천 행·의정 감시네트워크 등은 21일 성명서를 내고 인천시가 발표한 북부권 종합발전계획에 공공시설과 지역사회 환경개선, 지역균형발전 지원 등을 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에 따르면 20여년간 불법으로 적치된 건설폐기물, 악취관리지역인 수도권매립지, 검단 일반산업단지 등 환경 유해시설이 산재한 북부권 수만 세대의 공동주택 건립계획이 있다. 그러나 환경 유해시설에 대한 대책이 없어 난개발 및 환경을 더욱 악화시킬 수밖에 없다.

또 인근 지역 및 북부권 거주 주민들도 주민 서명 운동을 벌이는 등 환경피해로 낙후된 매립지 주변 지역에 대해 업무와 상업 활동이 가능한 종합적인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김선홍 글로벌 에코넷, 행·의정 감시네트워크 상임회장은 “현재 수도권매립지 인근 오류 왕길동 지역은 수도권매립지 간접영향권에 들어가 있다”며 “민간개발 사업자는 주변에 아파트만 세우고 말 것이 아니라 환경개선 방안과 함께 지역 주민과의 상생을 위한 도로, 문화, 복합 상권 등에 대한 기반 시설 계획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슈팀=이은경·이아진·유희근 기자

 



관련기사
[막가는 인천 북부권 도시개발] 2.꼬리 무는 논란, 그 중심에 '북부권 완충녹지' 인천 북부권 도시개발사업 둘러싼 석연치 않은 의혹과 논란 축 가운데 하나는 민선 7기 때 추진된 북부권 완충녹지 조성 계획이다.2021년 9월 시는 축구장 114개 면적에 이르는 총 82만㎡ 규모 북부권 완충녹지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검단일반산업단지 등 북부권 서측의 산업 밀집 지역과 동측의 주거 지역을 분리하고 인근 경인아라뱃길과 연계한 그린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취지에서였다. 총 사업비는 2910억 원으로 계획됐다.그러나 이 같은 계획은 발표되자마자 곧바로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지난 30년간 수도권매립지로 환경 피해를 감내한 지 [막가는 인천 북부권 도시개발] 2. 계약서에 발목 잡혀…“내 땅, 내 맘대로 못 팔아” “계약서에(잔금을 언제까지 주겠다는) 계약 날짜도 없을뿐더러 법적소송도 할 수 없고, 비밀 유지도 해야 한다고 쓰여 있어요. 땅 매각도 내 맘대로 못하는 등 매도자 권리가 없어 그저 답답합니다.”지난 2021년 A씨는 D사와 계약을 체결했다. A씨는 수십 년 전부터 왕길역 인근에 땅 약 3305㎡를 산 뒤 공장 임대를 하고 있다. 검단신도시 등 개발 사업이 활발히 이뤄지면서 그의 땅에도 D사가 관심을 나타낸 것이다.2년이 지난 지금 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해지자 A씨는 계약 자체를 없던 일로 하고 싶지만 계약서에 발이 묶여 이러지도 저 [막가는 인천 북부권 도시개발] 1.대규모 공동 주택 일변도…특정업체 독점 우려도 인천 마지막 개발지 북부권(서구 오류왕길동, 당하동, 원당동, 검단동, 불로대곡동)이 마구잡이식으로 추진되는 도시개발사업에 술렁이고 있다.지금 이곳에선 검단신도시 외 3곳(한들·경서·검단3구역)에서 공사가 진행 중이며, 8곳(검단1·검단5·왕길·왕길1·왕길3·두밀·가현·태현구역)이 구역지정 단계에 있다. 사업 실시계획(검단오류)과 개발계획(마전2) 협의 단계에 있는 구역도 한 곳씩이다.당초 북부권은 주거와 산업, 녹지 등이 섞여 있고 인근 수도권매립지로 관련 환경 업체와 영세 공장이 난립한 터라 도시화 속도가 더뎠다. 시는 그동안 [막가는 인천 북부권 도시개발] 1.매립지 종료 외치지만…아파트는 오히려 늘어난다 악취관리지역인 수도권매립지와 검단일반산업단지 인근에 공동주택 건립 계획이 속속 추진되고 있다.환경피해 등을 이유로 매립지 종료를 줄기차게 주장하고 있는 인천이지만, 수도권매립지 주변영향권 지역 내 아파트는 오히려 느는 추세다.19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간접영향권 세대수는 1만7489세대로 인구수는 4만116명이다.공장 난립 등으로 불모지였던 북부권에 신도시가 들어서고, 교통 인프라 확충 사업 등이 속속 발표되면서 민간 사업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수도권매립지 주변영향권 지역도 예외는 아니다. 사업 [막가는 인천 북부권 도시개발] 3.쪼개기식 난개발 아닌 체계적 발전계획 수립을 인천 마지막 개발지인 북부권을 놓고 새로운 미래를 그리려는 시도는 계속 이어져 왔다. 그러나 인천시의 허술한 구상은 갖가지 의혹을 불러 일으켰다.지난 인천시 북부권 개발계획의 맹점은 공공재인 완충녹지 조성을 빌미로 도시개발 민간사업자의 배를 불리는 모양새였다는 점이다. 사회기반시설(SOC) 설치를 민간사업자에 미루면서 개발이득을 담보했다.D사의 경우 도시개발 구역 안에 공공재인 완충녹지(근린공원·9만2087㎡)를 조성토록 했다. 악취관리지역인 수도권매립지와 1㎞ 정도 밖에 안 떨어진 곳에 추진 중인 도시개발 민간사업자에게 떠넘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