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관리지역 인근 우후죽순
불모지에 인프라 사업 발표되자
민간 사업자, 공동주택 눈길

향후 간접영향권 4만가구 추산
고밀도 초고층 개발승인 의문
▲ 오는 6월 입주를 앞둔 한들구역 및 주변지역. 환경부는 한들구역이 위치한 서구 백석·오류동 일대(1550만7000㎡)를 2006년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했다.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 오는 6월 입주를 앞둔 한들구역 및 주변지역. 환경부는 한들구역이 위치한 서구 백석·오류동 일대(1550만7000㎡)를 2006년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했다.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악취관리지역인 수도권매립지와 검단일반산업단지 인근에 공동주택 건립 계획이 속속 추진되고 있다.

환경피해 등을 이유로 매립지 종료를 줄기차게 주장하고 있는 인천이지만, 수도권매립지 주변영향권 지역 내 아파트는 오히려 느는 추세다.

19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간접영향권 세대수는 1만7489세대로 인구수는 4만116명이다.

공장 난립 등으로 불모지였던 북부권에 신도시가 들어서고, 교통 인프라 확충 사업 등이 속속 발표되면서 민간 사업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수도권매립지 주변영향권 지역도 예외는 아니다. 사업이 진행 중인 검단3구역을 시작으로 추진 예정인 왕길1구역, 검단5구역 등이 모두 해당 지역이다. 앞으로 진행될 개발사업들이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D사가 추진 중인 공동주택 2만2000여 가구를 포함하게 되면 향후 간접영향권 세대수는 약 4만여 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SL공사는 폐기물시설촉진법에 따라 시설(매립지) 운영으로 환경상 영향을 받게 되는 주변지역을 고시·결정해 지원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SL공사 관계자는 이에 대해 “(사업 시행 단계인) 검단 3구역을 제외하면 아직 대부분 구역 지정 단계로 구체화한 것이 아니어서 공식 입장을 밝히기 조심스럽다”며 “간접영향권 주민지원금은 거주 인구수와 상관없이 폐기물 반입수수료의 10%로 정해져 있다”고 설명했다.

그간 지역주민과 시민단체들은 D사 도시개발사업 구역이 수도권매립지와 인접해 있음에도 교통·환경영향평가 등 개발 인·허가를 통과하고 고밀도 초고층 개발을 승인한 점 등을 들어 민간 부동산 개발사업자에 대한 특혜 의혹을 제기해 왔다.

서구 왕길동 주민 A씨는 “극심한 환경 피해로 주거 부적합 지역으로 지목된 사월 마을과 반경 1㎞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 그것도 한남정맥 일부를 훼손하면서 고밀도 개발 허가가 난 점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김선홍 글로벌 에코넷 행·의정 감시네트워크 상임회장은 “현재 수도권매립지 인근 오류왕길동 지역에서 대규모 민간도시개발 사업이 추진 중인데 간접영향권에 들어가기 때문에 환경오염 및 유해시설에 대해 개발 업체에서 환경 개선방안을 발표해야 한다”며 “아파트만 세우고 마는 게 아니라 그 주변 지역을 어떻게 개선하겠다는 방안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 아울러 지역주민과의 상생을 위해서 도로 등의 기반시설에 대한 계획도 함께 수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D사는 북부권 개발이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 기존 계획대로 사업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D사 관계자는 “다른 도시개발 사례들을 살펴보면 인프라가 갖춰져 있지 않은 외딴곳에 많이 하는데 서구의 경우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 것을 보고 사업을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슈팀=이은경·이아진·유희근 기자



관련기사
[막가는 인천 북부권 도시개발] 1.대규모 공동 주택 일변도…특정업체 독점 우려도 인천 마지막 개발지 북부권(서구 오류왕길동, 당하동, 원당동, 검단동, 불로대곡동)이 마구잡이식으로 추진되는 도시개발사업에 술렁이고 있다.지금 이곳에선 검단신도시 외 3곳(한들·경서·검단3구역)에서 공사가 진행 중이며, 8곳(검단1·검단5·왕길·왕길1·왕길3·두밀·가현·태현구역)이 구역지정 단계에 있다. 사업 실시계획(검단오류)과 개발계획(마전2) 협의 단계에 있는 구역도 한 곳씩이다.당초 북부권은 주거와 산업, 녹지 등이 섞여 있고 인근 수도권매립지로 관련 환경 업체와 영세 공장이 난립한 터라 도시화 속도가 더뎠다. 시는 그동안 [막가는 인천 북부권 도시개발] 2. 계약서에 발목 잡혀…“내 땅, 내 맘대로 못 팔아” “계약서에(잔금을 언제까지 주겠다는) 계약 날짜도 없을뿐더러 법적소송도 할 수 없고, 비밀 유지도 해야 한다고 쓰여 있어요. 땅 매각도 내 맘대로 못하는 등 매도자 권리가 없어 그저 답답합니다.”지난 2021년 A씨는 D사와 계약을 체결했다. A씨는 수십 년 전부터 왕길역 인근에 땅 약 3305㎡를 산 뒤 공장 임대를 하고 있다. 검단신도시 등 개발 사업이 활발히 이뤄지면서 그의 땅에도 D사가 관심을 나타낸 것이다.2년이 지난 지금 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해지자 A씨는 계약 자체를 없던 일로 하고 싶지만 계약서에 발이 묶여 이러지도 저 [막가는 인천 북부권 도시개발] 2.꼬리 무는 논란, 그 중심에 '북부권 완충녹지' 인천 북부권 도시개발사업 둘러싼 석연치 않은 의혹과 논란 축 가운데 하나는 민선 7기 때 추진된 북부권 완충녹지 조성 계획이다.2021년 9월 시는 축구장 114개 면적에 이르는 총 82만㎡ 규모 북부권 완충녹지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검단일반산업단지 등 북부권 서측의 산업 밀집 지역과 동측의 주거 지역을 분리하고 인근 경인아라뱃길과 연계한 그린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취지에서였다. 총 사업비는 2910억 원으로 계획됐다.그러나 이 같은 계획은 발표되자마자 곧바로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지난 30년간 수도권매립지로 환경 피해를 감내한 지 [막가는 인천 북부권 도시개발] 3. 사회기반시설 확충이 먼저…지역 특성 고려해야 검단 분구 추진으로 인천 북부권 개발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뜨겁다.북부권이 하나의 독립 구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도시개발 계획이 나와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사회기반시설 확충과 미래 먹거리 산업 생태계 구축 등 개발방향에 대한 종합적인 밑그림을 그린 후 민간개발 사업들이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다.지난해 8월 인천시는 28년 만에 행정체계 개편을 선포했다. 현 2군·8구 체계에서 오는 2026년까지 중·동구를 합쳐제물포구를 만들면서 영종구와 검단구를 신설하는 2군·9구체계로 바꾼다는 구상이다.검단구 신설로 현재 북 [막가는 인천 북부권 도시개발] 3.쪼개기식 난개발 아닌 체계적 발전계획 수립을 인천 마지막 개발지인 북부권을 놓고 새로운 미래를 그리려는 시도는 계속 이어져 왔다. 그러나 인천시의 허술한 구상은 갖가지 의혹을 불러 일으켰다.지난 인천시 북부권 개발계획의 맹점은 공공재인 완충녹지 조성을 빌미로 도시개발 민간사업자의 배를 불리는 모양새였다는 점이다. 사회기반시설(SOC) 설치를 민간사업자에 미루면서 개발이득을 담보했다.D사의 경우 도시개발 구역 안에 공공재인 완충녹지(근린공원·9만2087㎡)를 조성토록 했다. 악취관리지역인 수도권매립지와 1㎞ 정도 밖에 안 떨어진 곳에 추진 중인 도시개발 민간사업자에게 떠넘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