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 빠진 독에 물 퍼주기…하수 재이용 시설 확충해야

인천 상수도 사용량 상위 35개 기업
하루 평균 7만1017여t 사용
상수도 사업본부, 1년이면 51억 적자

하수 재이용시 이산화 탄소 59% 줄여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현대화 필요
물부담금 t당 170원…수계기금 0.7%

전문가 “한강하류 지원 절실” 한목소리

▲수돗물 많이 쓰는 기업 책임져야 한다

발전사와 폐기물 관련 사업장을 뺀 인천의 상수도 다량 기업은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체와 겹친다. 직간접적으로 인천의 환경 악화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는 업체들이다.

인천지역 상수도 사용량 상위 35개 기업은 하루 평균 7만1017t을 쓴다. t당 생산원가(842.8원) 대비 공급단가(643.98원)의 적자 폭이 198.82원인 점을 따지면 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는 하루 1411만원을 밑지면서 이들 기업에 수돗물을 대준다. 1년이면 51억5365만원이나 적자다.

수돗물 1t을 생산할 때 드는 전력량은 0.2㎾h 정도다. 전력 1㎾h를 사용할 때 이산화탄소는 3.40㎏이 발생한다. 이들 35개 기업이 수돗물을 쓰면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가 연간 8만8132t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인천시는 '2050 탄소중립전략'을 세우면서 2030년까지 발전사를 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8년(2704만1000t)에 비해 40.1%인 1098만9000t을 줄인다는 계획(시나리오2)을 내놨다.

이 계획을 달성하려면 상수도 다량 사업장을 대상으로 버리는 하수를 재이용하는 물순환 체계를 갖춰야 한다.

하수를 재이용할 때 상수도 요금에 자동으로 따라붙는 1t당 하수도 요금 525.85원과 물이용부담금 170원을 줄일 수 있다. 35개 기업이 쓰는 상수도를 100% 재이용한다고 가정할 때 하루 1184만원을 절감할 수 있다.

하수처리수를 다시 처리해 공업용수로 재이용할 경우 1t당 0.97㎾h 전력을 사용한다. 상수도 1t을 생산할 때 드는 전력의 거의 2배 정도다. 하지만 1㎾h 당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0.5㎏으로 상수도에 비해 7분의 1 수준이다. 상류에 있는 팔당 원수를 끌어오고, 풍납 원수를 취수해 송·배수 등의 과정이 생략돼 전력을 아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버리는 수돗물을 재이용했을 때 상수도를 생산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59%를 줄일 수 있다.

▲ 가좌 하수처리장.
▲ 가좌 하수처리장.

▲하수 재이용 기업 달랑 3곳뿐… 1.54% 재이용

상수도 다량 사업장 35곳 중에서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는 기업은 현대제철과 SK인천석유화학, 동국제강 등 3곳뿐이다.

이것도 자체 재이용시설을 갖춘 것이 아니라 민간투자사인 미추홀맑은물재이용센터가 가좌하수처리장에 세운 재이용시설을 거쳐 처리한 공업용수를 사다가 쓰는 방식이다.

동국제강은 재이용수를 하루 7000t을 가져다가 쓴다. 1t당 재이용수 가격은 600~700원 사이다.

현대제철과 SK인천석유화학은 8000t과 1만t을 미추홀맑은물재이용센터에서 공업용수로 공급받는다. 1t당 물값은 950~1100원 정도다. 1400원 하는 상수도 요금보다 많게는 50%에서 적게는 20%를 절약할 수 있다.

가좌하수처리장을 빼고 인천환경공단이 운영하는 하수처리시설에는 싼 요금에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재이용시설이 없다. 시설이 낡아 하수처리 효율이 떨어져 총인과 총질소의 배출허용 기준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면서도 말이다.

재이용하더라도 경제성이 없는 하천유지 용수나 도로청소, 농업용수 등으로 쓰일 뿐이다. 인천환경공단은 2021년 전체 하수처리량의 10.6%인 2782만t을 재이용했다. 이중 하수처리장 밖에서 재이용한 처리수는 1891만6000t이었다. 이 가운데 돈을 받는 공업용수량은 405만7000t으로 21.4% 남짓했다.

경북 포항시의 경우 5년 전 정부보조금 60%를 받아 10만t 규모의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을 구축했다. 포항시는 재이용시설로 공업용수를 500원대에 공급하고 있다.

▲하수처리수 재이용 시설, 지금이 적기다.

엠코코리아,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상수도 다량 사업장이 있는 송도국제도시의 경우 송도1, 2하수처리장을 개량해 재이용수를 공급할 여지가 충분하다. 인천시는 2035년까지 인천 시내 7개 주요 공공하수처리시설을 증설하고 현대화해야 한다. 재이용시설 구축의 적기다.

'2035년 인천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따르면 인구증가와 개발계획으로 공공하수처리시설 용량이 당초 하루 181만1540t(처리구역 327.474㎢)에서 187만7540t(처리구역 327.858㎢)로 증가했다. 승기하수처리장(처리용량 27만t)은 2025년이면 사용한 지 30년이 돼 현대화사업을 해야 한다. 예산은 3884억 원이다.

송도하수처리장은 승기하수처리장에서 넘겨받는 5·7·11공구의 하수로 인해 시설용량을 14만8000t으로 하루 5000t를 늘려야 한다. 증설비는 778억4300만원이다.

만수하수처리장은 서창2지구 개발사업으로 하루 처리용량 3만5000t을 더해 10만5000t으로 증설해야 한다. 예산은 637억6400만원이다.

남항하수처리장도 용현·학익 도시개발사업 등으로 시설용량을 하루 12만5000t에서 14만t으로 증설해야 한다. 가좌하수처리장은 94억원을 들여 전 처리시설과 차집관로 설치로 고농도 오·폐하수를 잡아야 한다. 공촌하수처리시설도 2만8000t으로 6000t을 더 늘려야 한다.

▲한강수계기금 하류 지역과 같이 쓰자

인천이 물 정책에서 소외된 지점 중의 하나가 물이용부담금이다. 인천은 한강 상류의 물을 끌어다가 쓴다는 이유로 1t당 170원의 물이용부담금을 내고 있다.

1999년부터 2021년까지 인천은 1003억3000만원을 부담했다. 전체 8조4755억원의 11.8%에 해당한다. 서울은 41.5%를, 경기는 43.3%, 수자원공사는 3.4%를 징수당했다.

인천은 물이용부담금으로 왕창 내고, 쥐꼬리만큼 가져다 쓰고 있다. 같은 기간 628억원의 수계기금을 썼다. 전체 집행액(8조6234억원)의 0.7%이다. 한강 상류가 아닌 하류 지역이라는 이유에서다. 같은 수도권인 서울은 3.9%, 경기도는 44.0%를 수계기금을 사용했다.

경기도 등 상류 지역의 환경기초시설비가 45.8%(3조9486억원)가 가장 많았다. 역시 상류 지역 토지매수와 수변구역관리비로 21.5%(1조8510억원)와 주민지원사업에 18.1%(1조5581억원)를 썼다.

서울과 경기 등 한강을 타고 내려오는 각종 오염물질로 강화·옹진 등 인천 앞바다는 신음하고 있다. 특히 미세플라스틱의 오염이 심각하다. 한강 하류에 대한 수계기금의 지원이 절실할 때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슈팀=이은경·이아진·유희근 기자



관련기사
[도시경쟁력, 기초부터 세우자] 해수청·IPA 이관, 항만 경쟁력·지방분권 '첫걸음' 지난 2021년부터 인천항을 둘러 싼 항만민영화에 대한 우려는 폭발적이었다.항만이라는 국가자원을 해양수산부와 공기업인 인천항만공사(IPA)가 관리운영 하면서도 항만법을 잇따라 개정해 배후부지를 민간개발로 추진하면서다.공공재가 자칫 부동산 투기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공인프라인 항만 배후부지가 제 기능을 하기 어렵다는 주장에서다.인천은 이제 인천항 경쟁력을 이유로 20년여 전 세웠던 IPA와 지방해수청의 이관에 주목하고 있다.23일 항만업계에 따르면 정부 주도 항만행정의 경직성을 해소하고 항만환경변화에 대한 탄력적 대처 [도시경쟁력, 기초부터 세우자] 2. 민영화가 쏘아올린 항만자치권 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정책에서 벗어나 인천지역 특성에 맞는 항만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어제 오늘 이야기가 아니다.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차원의 대응이 해양안전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해양·항만 업무의 인천시 이관이 제기됐지만 성사되지 못했다.인천항만 산업이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33%로 알려졌다. 하지만 해양수산부와 산하 공기업인 인천항만공사(IPA)가 관리 및 운영 주체다.인천시가 인천항에 개입할 여지에는 한계가 있다.현재 시는 IPA 중요 사항을 결정하 [도시경쟁력, 기초부터 세우자] '의료 취약지' 인천, 공공의대 설립이 살길 지난해 12월 인천지역 상급종합병원인 가천대 길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입원 진료를 약 한 달간 중단해야 했다. 4년 차 소청과 전공의가 전문의 시험 준비에 들어가면서 2년 차 전공의 한 명만 남아서다. 올해 1월 들어서는 인천성모병원이 의료진 부족으로 소아청소년과 야간진료를 중단했다.최근 국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기반이 갈수록 약화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충분한 공공·필수의료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핵심은 이 같은 전문 의료 인력을 어떻게 확보하는가다.국가 의료 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인천지역 소아청소년 [도시경쟁력, 기초부터 세우자] 1. 절실한 인천형 공공의료 확대 '1432명.' 2020년 인천 지역에서 치료가 시의적절하게 이뤄졌다면 살릴 수 있었던 사망자 수다. 이는 최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발표한 '지역 의료격차 실태조사'에 따른 것이다.경실련은 지역 의료격차 실태조사를 통해 2020년 전국의 인구 10만명당 치료 가능 사망률을 살펴봤다. 전국 평균 치료 가능 사망률은 43.8명으로 조사됐으며, 인천은 평균을 웃도는 48.58명으로 나타났다. 치료 가능 사망률은 치료가 시의적절하게 효과적으로 이뤄졌다면 살릴 수 있었을 사망자의 비율을 분석한 수치다. [도시경쟁력, 기초부터 세우자] 매일 흘려보내는 3억…인천, 물순환 절실하다 오늘 하루 당신은 물값은 또 얼마나 버리셨습니까?수돗물을 쓰고 버리면서 인천 시민은 매일 3억7625만원을 까먹는다. 수원(水源)을 갖지 못한 인천의 한계이자, 물순환이 필요한 이유다.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는 842.8원을 들여 생산한 수돗물 1t을 643.98원에 판다. t당 198.82원을 밑진다. 본부는 하루 107만7863t의 수돗물을 공급한다. 하루 2억1430만원, 1년에 782억1976만원을 손해 본다.시는 올해부터 수도요금을 40% 인상하려고 했다. 2021년 535억원, 2020년 491억원 등 계속 쌓이는 적자 탓이었 [카드뉴스] 매일 흘려보내는 3억…인천, 물순환 절실하다 수돗물을 쓰고 버리면서 인천 시민은 매일 3억7625만원을 까먹는다. 수원(水源)을 갖지 못한 인천의 한계이자, 물순환이 필요한 이유다.인천지역 상수도 사용량 상위 35개 기업은 하루 평균 7만1017t을 쓴다. t당 생산원가(842.8원) 대비 공급단가(643.98원)의 적자 폭이 198.82원인 점을 따지면 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는 하루 1411만원을 밑지면서 이들 기업에 수돗물을 대준다. 1년이면 51억5365만원이나 적자다.수돗물 1t을 생산할 때 드는 전력량은 0.2㎾h 정도다. 전력 1㎾h를 사용할 때 이산화탄소는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