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북등의 무늬, 낙서(洛書), 3차 마방진

숫자만큼 재미있는 이야기도 없을 것이다. 오늘은 마방진(魔方陣) 이야기다. 마(魔)는 신비롭다는 뜻이고, 방(方)은 사각형을 의미하고, 진(陳)은 줄지어 늘어선다는 말이다. 마방진이란 정사각형에 1부터 차례로 숫자를 적되, 중복하거나 빠뜨리지 않고 가로, 세로, 대각선 숫자들의 합이 모두 같도록 만들어진 숫자 배열이다.

마방진의 기원은 낙서(洛書)에서 유래하였다. 낙서의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 우리 고대 역사책 <태백속경>에 의하면, “단군왕검께서 희귀한 금거북이를 잡아서 등에다가 낙서를 써서 바다에 띄워 보내며 말하기를, '동쪽으로 가든 서쪽으로 가든 네가 가는 대로 맡기리라. 이것을 얻는 자는 성인이리라' 하였는데 그 후 한 어부가 낙수에서 금거북을 잡아 우(禹)임금에게 바치니 이것이 낙서였다.” 낙서는 하도(河圖)와 함께 우주 수학의 원전으로 <주역>공부에 있어 필수과목이다. 금거북이 등에는 여러 개의 점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가로, 세로, 대각선의 숫자 합이 신기하게도 모두 15로 같다.(그림 참조)

즉 1부터 9까지 숫자를 중복하지 않고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모두 15(9+5+1, 3+5+7, 4+5+6, 2+5+8)로 같으며 가로·세로가 세 칸으로 되어 있어 '3차 마방진'이라고 한다.(그림참조)

미국의 수학자 스웨트(F.Swetz)는 <낙서의 유산>에서 현재 미국 중학교 교과서에 마방진을 Magic Square로 소개하고 있으며 오래전 동서양을 왕래한 아랍인들을 통해 전 세계로 퍼져나가 중동 및 유럽문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유럽의 수학자들은 이를 근거로 9차 마방진까지 발명해냈다.

하도와 낙서가 한민족과 인연이 깊듯이 마방진 역시 그렇다. 왜냐하면 세계 최초로 9차 마방진을 밝힌 사람이 조선의 최석정이라는 수학자였다. 독자들에게 생소한 최석정(崔錫鼎,1646~1715)은 조선시대 문신으로 9세에 <시경>을 암송했고, 12세에 <주역>을 도해할 정도로 신동이라 불리었으며, 17세에 초시에 장원을 한 이래 좌·우의정을 거쳐 영의정만 10번을 역임하면서 백성들의 어려움과 서얼 차별, 붕당의 폐단을 줄이려 한 정치가였다. 또한 최석정은 <주역>의 상수학을 응용하여 훈민정음을 해석한 음운학자였으며, 당시 청나라에서 들어온 시헌력이란 달력을 조선의 상황에 맞게 고치는 등 천문학 발전에도 많은 기여를 하였다. 선생은 역(易)철학과 수학을 결합하여 <구수략(九數略)>이라는 수학책을 저술하였다. 이 책에서 세계 최초로 '9차 직교라틴방진', 즉 가로, 세로 9칸씩 81개의 칸에 1부터 81까지 하나씩 들어가는 방진(方陣)을 밝혀냈다. 이는 스위스의 수학자 오일러(L.Euler)가 발표한 것보다 67년이나 앞선 거로 학계에서 공식인정을 받았다. 2013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는 선생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여 한림원 명예의 전당에 헌정된 위대한 수학자였다.

▲&nbsp;한태일 한역(韓易) 연구소 소장.
▲한태일 인천도시공사 상임감사.

/한태일 인천도시공사 상임감사



관련기사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7. 누런 치마이니 크게 길하다 다가오는 미래를 알아보는 방법의 하나가 상·수·리(象數理)다. 그런데 말이 쉽지 일반인들이 상수리를 캐치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상수리를 담고 있는 <주역>을 공부하는 것이다. <주역>은 앞일을 예측해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이다. 마치 워게임(war game)에서 시뮬레이션을 돌려 승패를 예측해보듯 주역점(周易占)도 마찬가지다. 즉 점을 쳐서 괘(卦)와 효(爻)를 뽑아보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이 점괘를 해석하는 것인데 오죽하면 ‘꿈보다 해몽’이라 했겠는가. 괘와 효의 글이 뜬구름 잡는 식으로 서술되어 해석하는 사람마다 백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6. 서화담과 종달새 세상 이치를 파악하는데 하나가 상수리(象數理)이다. 상수리는 앞일을 미리 보여주는 ‘징조[象]’와 비밀코드를 풀 수 있는 ‘숫자[數]’ 그리고 상∙수를 바탕으로 그것을 해석하는 ‘이치[理]’를 말한다. 즉 세상만사는 각자 고유한 상(象)이 있으며, 그것은 수(數)로 이루어져 있어 상과 수를 알게 되면 이면에 담긴 이치(理)를 알 수 있다는 말이다. <주역>을 다른 말로 상수학(象數學)이라 한다. 그래서 <주역>을 공부하게 되면 세상 이치의 ‘한소식’을 들을 수 있다.그런데 상수(象數)도 알기 어렵지만, 리(理) 또한 만만치 않다.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5. 수(數)가 돈이다 수(數)가 돈이다! 숫자에 도통하면 부자가 될 수 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사람 팔자를 다른 말로 운수(運數)라고 하는데, 사람 팔자는 “얼마나 수(數)를 잘 핸들링(運)하느냐”에 달렸다는 것이다. 예컨대 로또복권도 숫자놀음 아닌가. 숫자 6개만 잘 고르면 팔자를 고칠 수 있지만 그게 어디 쉬운 일이던가. 그래도 보통 사람들이 부자가 될 수 있는 방법이 있긴 하다. 단 끈기와 인내심으로 버텨낼 수 있다면. 얼마 전 25년간 매주 같은 번호를 고집하여 마침내 3800억 원의 잭폿을 터뜨린 한 미국인의 뉴스를 보았다. 그야말로 '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4. 남들이 열 번 하면 나는 천 번을 해서라도 이제 며칠 후면 새해가 밝아온다. 새해가 되면 누구나 멋진 계획을 세운다.하지만 며칠 지나다보면 작심삼일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필자 또한 마찬가지다. 그럴 때마다 심지(心志)가 굳지 못한 걸 후회하며 되새기는 글귀가 있다. “남들은 한 번에 할 수 있는 일도 난 백 번을 하며, 남들이 열 번해야 익숙해지는 일은 난 천 번을 해서라도 그렇게 한다(人一能之 己百之 人十能之 己千之).” 이렇게 한다는 것이 말처럼 쉽지 않다. 그런데 <중용(中庸)>의 이 글귀를 몸소 보여준 인물이 있었으니 전설적 독서광인 김득신(金得臣,1604~1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3. 세상을 보는 눈, 상수리(象數理) - 수(數)(1) 오늘은 세상을 분석하는 3가지 수단[象數理] 중 하나인 '숫자(數)'에 대해 알아보자. 여러분은 수(數)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 세상은 수(數)로 되어있다. 그걸 알려면 우리 삶이 얼마나 숫자와 밀접한가를 살펴보면 된다. 우린 태어나면서부터 숫자로 시작한다. 태어난 날인 생일, 신생아의 신장과 체중의 수치, 주민등록번호, 학창시절의 학번과 군대의 군번도 모두 숫자다. 휴대폰 번호와 온라인 계정들의 비밀번호에도 숫자가 들어간다. 모든 경제행위들이 숫자로 되어 있다. 통장 속의 잔고, 회사의 매출, 주식의 시세도 숫자로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51. 원(○) 방(□) 각(△) 원(圓, ○), 방(方, □), 각(角, △)은 한민족 고유의 문화코드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은 원·방·각의 의미를 잘 모른다. 그런데 이 원방각을 전 세계 사람들에게 확실히 각인시켜준 사건이 있었다. 바로 넷플릭스에 방영되었던 '오징어게임'이다. 한류 콘텐츠가 드라마 부문에서도 글로벌 엔터테인먼트계의 주목을 받았던 작품이었다. 드라마에 등장하는 게임 진행자들의 가면에 동그라미, 네모, 세모가 그려져 있으며, 오징어의 생김새 또한 ○, □, △로 원방각의 모양이지 않은가.<주역>에서는 우주만유의 가장 근본이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52. 춘향이와 엘리자베스 테일러 <주역>은 한마디로 음양학(陰陽學)이다. 음양이란 말도 <주역>에서 처음 나왔다. 음양을 모르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음양이란 글자의 왼쪽에 '언덕(阝)'이란 부수가 붙어 있듯이 햇빛이 비치는 언덕 쪽을 양(陽)이라 하고, 해가 없는 그늘진 쪽을 음(陰)이라 한다. 이처럼 해가 비치는 오전엔 '양달'이 되었다가, 오후가 되면 햇볕이 없는 '응달'이 되듯 음양은 절대적인 개념이 아니라 상대적인 개념이다. 이렇게 우주는 음양의 상대적인 기운과 완벽한 조화로 영원히 순환하고 있다. 이를테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