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절실한 인천형 공공의료 확대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 약화 추세
의대 정원 확대 논의는 17년째 제자리
지역내 근무 전문인력 양성·확보 절실
▲ 소아청소년과 입원 중단 소식을 알리는 병원 홈페이지 안내문(=가천대 길병원 홈페이지 갈무리).
▲ 소아청소년과 입원 중단 소식을 알리는 병원 홈페이지 안내문(=가천대 길병원 홈페이지 갈무리).

지난해 12월 인천지역 상급종합병원인 가천대 길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입원 진료를 약 한 달간 중단해야 했다. 4년 차 소청과 전공의가 전문의 시험 준비에 들어가면서 2년 차 전공의 한 명만 남아서다. 올해 1월 들어서는 인천성모병원이 의료진 부족으로 소아청소년과 야간진료를 중단했다.

최근 국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기반이 갈수록 약화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충분한 공공·필수의료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핵심은 이 같은 전문 의료 인력을 어떻게 확보하는가다.

국가 의료 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인천지역 소아청소년 인구 10만 명 당 전문의 수는 19.6명으로 전국 평균(30.2명)에 비해 크게 못 미친다. 이중 공공병원 비율은 0.7명으로 1명이 채 되지 않는다.

해법으로 의대 정원 확대가 제시되지만, 의료계 반발 등에 막혀 2006년 3058명으로 정해진 이후 17년째 조정 없이 그 숫자가 유지되고 있다.

특히 인천지역 의대(인하대·가천대) 정원은 지난 2020년 기준 89명(2.91%)으로, 비슷한 인구 규모의 부산(342명)이나, 대구(302명), 광주(250명), 대전(199명) 등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수를 가진 지자체와 비교해도 턱없이 적다.

물론, 지역 의대에서 의료 인력을 배출하더라도 그 인력들이 반드시 지역에서 근무하는 건 아니다.

단순 의대 정원 확대가 아닌, '지역 완결적 의료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공공 의료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공공의대 설립'이다.

공공의대는 공공의료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공공보건의료기관(지방의료원 등)에서 근무할 의료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아직 국내에서 설립된 사례가 없고 법적·제도적 틀도 갖추지 못한 상태지만, 교육 기간 학비 등 모든 비용은 무상 지원하되 의사 면허 취득 후 최소 10년 동안은 도서 산간 지역 및 농어촌 등 의료 취약 지역에서 근무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방안이 논의된다.

인천에서 공공의대 설립 논의가 본격화된 건 지난 2020년 코로나19 사태를 맞으면서다.

인천국제공항 등을 갖춘 지리적 특성상 해외에서 유입되는 감염병 위험에 가장 크게 노출돼 있지만, 공공의료기관과 공공병상 수 비율 등 관련 의료 지표는 전국 평균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지난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발표한 '지역 의료격차 실태 조사'에 따르면 인천은 전남, 경북과 함께 '의료 취약지'다. 인구당 의사 수 등 의료 자원이 부족하고 치료 가능 사망률은 높다.

남은경 경실련 사회정책국장은 공공·필수의료 인력 확보는 지역 민생과 직결된 사안이자 지역 간 의료 불평등 문제를 해소할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남 국장은 “지방 공공의료 인력 확충을 위해 공중보건장학제도가 도입됐지만, 지원자가 모집 정원의 절반에 그치는 등 사실상 실패한 정책으로 판명이 나 별도 양성 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다”라며 “지방정부와 지역사회가 지역 공공 의료 확대와 의료 불평등 문제 해소를 위해 각자 역할을 찾고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3면<[도시경쟁력, 기초부터 세우자] 1. 절실한 인천형 공공의료 확대>

/이슈팀=이은경·이아진·유희근 기자



관련기사
[도시경쟁력, 기초부터 세우자] 1. 절실한 인천형 공공의료 확대 '1432명.' 2020년 인천 지역에서 치료가 시의적절하게 이뤄졌다면 살릴 수 있었던 사망자 수다. 이는 최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발표한 '지역 의료격차 실태조사'에 따른 것이다.경실련은 지역 의료격차 실태조사를 통해 2020년 전국의 인구 10만명당 치료 가능 사망률을 살펴봤다. 전국 평균 치료 가능 사망률은 43.8명으로 조사됐으며, 인천은 평균을 웃도는 48.58명으로 나타났다. 치료 가능 사망률은 치료가 시의적절하게 효과적으로 이뤄졌다면 살릴 수 있었을 사망자의 비율을 분석한 수치다. [도시경쟁력, 기초부터 세우자] 2. 민영화가 쏘아올린 항만자치권 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정책에서 벗어나 인천지역 특성에 맞는 항만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어제 오늘 이야기가 아니다.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차원의 대응이 해양안전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해양·항만 업무의 인천시 이관이 제기됐지만 성사되지 못했다.인천항만 산업이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33%로 알려졌다. 하지만 해양수산부와 산하 공기업인 인천항만공사(IPA)가 관리 및 운영 주체다.인천시가 인천항에 개입할 여지에는 한계가 있다.현재 시는 IPA 중요 사항을 결정하 [도시경쟁력, 기초부터 세우자] 해수청·IPA 이관, 항만 경쟁력·지방분권 '첫걸음' 지난 2021년부터 인천항을 둘러 싼 항만민영화에 대한 우려는 폭발적이었다.항만이라는 국가자원을 해양수산부와 공기업인 인천항만공사(IPA)가 관리운영 하면서도 항만법을 잇따라 개정해 배후부지를 민간개발로 추진하면서다.공공재가 자칫 부동산 투기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공인프라인 항만 배후부지가 제 기능을 하기 어렵다는 주장에서다.인천은 이제 인천항 경쟁력을 이유로 20년여 전 세웠던 IPA와 지방해수청의 이관에 주목하고 있다.23일 항만업계에 따르면 정부 주도 항만행정의 경직성을 해소하고 항만환경변화에 대한 탄력적 대처 [도시경쟁력, 기초부터 세우자] 3. 물처럼 돈이 샌다 ▲수돗물 많이 쓰는 기업 책임져야 한다발전사와 폐기물 관련 사업장을 뺀 인천의 상수도 다량 기업은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체와 겹친다. 직간접적으로 인천의 환경 악화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는 업체들이다.인천지역 상수도 사용량 상위 35개 기업은 하루 평균 7만1017t을 쓴다. t당 생산원가(842.8원) 대비 공급단가(643.98원)의 적자 폭이 198.82원인 점을 따지면 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는 하루 1411만원을 밑지면서 이들 기업에 수돗물을 대준다. 1년이면 51억5365만원이나 적자다.수돗물 1t을 생산할 때 드는 전력량 [도시경쟁력, 기초부터 세우자] 매일 흘려보내는 3억…인천, 물순환 절실하다 오늘 하루 당신은 물값은 또 얼마나 버리셨습니까?수돗물을 쓰고 버리면서 인천 시민은 매일 3억7625만원을 까먹는다. 수원(水源)을 갖지 못한 인천의 한계이자, 물순환이 필요한 이유다.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는 842.8원을 들여 생산한 수돗물 1t을 643.98원에 판다. t당 198.82원을 밑진다. 본부는 하루 107만7863t의 수돗물을 공급한다. 하루 2억1430만원, 1년에 782억1976만원을 손해 본다.시는 올해부터 수도요금을 40% 인상하려고 했다. 2021년 535억원, 2020년 491억원 등 계속 쌓이는 적자 탓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