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3년 앞으로 다가와 2026년이면 인천시와 경기도, 서울시는 생활폐기물을 모두 소각해 처리해야 한다. 소각시설 확충과 대체 매립지가 필수란 얘기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인데, 수도권 3개 광역단체는 여태껏 자체 소각시설 조성을 위한 첫 삽을 뜨지도 못 하고 있다. 게다가 대체 매립지 조성 사업도 답보상태로 쓰레기 대란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정부와 경기도, 서울시는 '대체 매립지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수도권매립지 잔여부지의 최대 15% 내에서 추가 사용한다'는 단서조항이 담긴 2015년 4자 협의체 합의 내용을 근거로 인천시의 수도권매립지 종료 요구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특히 수도권매립지로 가장 큰 환경 피해를 보고 있는 인천의 경우, 지역 정치권에서 정쟁을 벌이며 허송세월하였다. 이제는 인천 정치권과 시민사회가 소각시설 확보와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관한 현실적인 해법을 찾아야 할 때이다. 경기도와 서울시도 전향적인 태도를 보여야 한다.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소각시설 확충은 수도권 지자체 모두의 현안이기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기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지난 2015년 인천시·경기도·서울시·환경부가 쓰레기 처리를 위해 함께 논의했던 4자 협의체 재가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4자 협의체 재가동으로 4자 합의에서 약속했던 대체 매립지 조성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관할권 이관 등이 이뤄질 수 있도록 조처를 해야 한다.

무엇보다 인천시는 현재 답보상태에 있는 소각시설 확충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군·구도 주민 눈치를 볼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현안으로 인식하고 소각시설 확충에 나서야 한다. 소각장 등 자원순환센터 설치·확충은 향후 인천시가 4자 협의체 안에서 협의 주도권을 가져오기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이기 때문이다. 인천이 먼저 발생지 처리 원칙에 입각한 노력을 보여준다면 서울시와 경기도도 매립지 사용 종료에 더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지 못할 것이다. 아울러 지역 정치권이 수도권매립지 종료 문제를 정쟁의 도구로 삼을 것이 아니라 인천의 한목소리를 대변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매립지, 끝인가 새로운 시작인가] ③ 매립에서 소각으로 2026년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로 이제 수도권매립지 문제는 인천 전체를 넘어 서울시, 경기도가 외면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종량제봉투에 담긴 생활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하는 행위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이는 2015년 수도권매립지정책 4자 협의체가 합의한 '매립지 사용에 따른 환경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실현된 방안 중 하나다.게다가 서울시와 경기도가 넓은 수도권매립지에만 의지한 채 쓰레기 감량과 처리에 소극적으로 일관하기에는 반(反)탄소중립 지자체라는 후진적 이미지를 면치 못하는 시대가 됐다.그러나 직매립 [매립지, 끝인가 새로운 시작인가] 쓰레기정책, 골든타임은 지금…4자 협의체 재개 절실 매립 위주의 쓰레기 정책에서 벗어날 골든타임은 지금이다.수도권 지역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3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인천시·서울시·경기도·환경부 4자의 '수도권매립지 정책' 논의 테이블 마련이 시급하다. 수도권매립지 대체 매립지 조성 사업이 답보상태로 쓰레기 대란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환경부는 지난 2021년 9월 '2026년 1월 1일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공고를 고시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지역의 기초지자체들은 생활폐기물을 소각해 처리해야만 한다.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에 [매립지, 끝인가 새로운 시작인가] ② SL공사, 이관 넘어 활용으로 국가 폐기물 관리 패러다임 전환에 따라 '친환경 자원순환 전문기관'으로 역할 변화를 준비하고 있는 수도권매립관리공사(SL)는 폐기물 반입량 감소에 따른 반입 수수료 수입 감소와 1·2 매립장 사후관리라는 두 가지 과제에 직면해 있다.SL공사에 따르면 2022년 대형 건설폐기물 직매립 금지·2025년 모든 건설폐기물 반입 금지·2026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등의 영향으로 연간 총 반입량은 2021년 291만t에서 2026년 19만t으로 10분의 1 이하 수준으로 대폭 감축될 전망이다. 이로 인해 반입 수수료 수입도 [매립지, 끝인가 새로운 시작인가] 매립 아닌 자원순환 틀 마련해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는 그동안 인천지역에서 사실상 골칫덩어리로 인식돼 왔다.수도권매립지와 SL공사가 동일 선상에서 거론되면서 단순 쓰레기매립지 관리기관으로 인천에서는 폐지돼야 할 공공기관으로 여겨져 왔다.특히, 지난 2015년 환경부·인천시·경기도·서울시 등이 참여한 4차협의체 합의에 따라 SL공사의 인천시 이관이 화두로 떠올랐지만 이는 SL공사 운영권 확보를 통한 매립지 종료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을 뿐이다.2026년 직매립 금지와 2035년 탄소중립 등 대외 흐름에 맞서 SL공사가 변화의 기로에 서 있 [매립지, 끝인가 새로운 시작인가] 우왕좌왕 매립 정책…주민 환경권 보장은 요원 수도권매립지를 둘러싼 논쟁이 끝이 없다. '매립 종료냐, 연장이냐'의 논란을 아직도 되풀이하고 있다. '대체매립지니, 자체매립지니'하는 의제도 여전히 돼새김질 중이다. 인천일보는 수도권매립지 난제와 대안을 3편에 걸쳐 짚어본다. ① 4자 합의, 그 후2014년 12월 3일, 민선6기 유정복 인천시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2016년 수도권매립지 매립 종료가 현실적으로 어렵자 '선제적 조치'를 위한 '4자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환경부 장관과 인천·서울·경기 수도권 3개 단체장으 [매립지, 끝인가 새로운 시작인가] ① 4자 합의, 그 후 '1대 3.' 수도권매립지 종료 문제를 둘러싼 4자간(인천시·서울시·경기도·환경부) 역학관계는 1대 3구도로 인천이 절대적인 열세다.1992년부터 운용해온 수도권매립지로 지난 30년간 환경적, 경제적 피해를 일방적으로 감내해 온 인천과 2015년 4자 합의로 현재 매립 중인 3-1공구(103만㎡)와 잔여부지 15%(최대 106만㎡)까지 추가 사용할 수 있는 3자의 입장이 극명하게 엇갈리기 때문이다.수도권매립지 종료의 전제 조건이자 핵심은 결국 대체(자체 포함)매립지 확보다. 소각장 등 각 자치단체의 전처리시설 확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