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로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1년이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산업현장에서 산업재해로 노동자들이 목숨을 잃는 일이 끊이지 않자 노동계와 시민사회, 정치권에서 오랜 논의 끝에 만들어진 법이다. 이 법의 취지는 경영자 또는 사용자에게 일터에서 안전의무를 강화하고 사망 사고 등 중대재해에 관한 법적 책임(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 벌금)을 물어 중대재해를 사전에 방지하려는 것이다.

그런데 법 시행 1년을 맞아 정부 여당과 경영계는 경영자 처벌을 완화하고 사전 예방 교육, 노사 자율 규제에 맡기는 방향으로 법 개정을 시사하고 나섰다. 사실 말이 법 개정이지 중대재해처벌법 흔들기에 불과하다. 정부 여당과 경영계의 논리는 사후처벌 위주로 돼 있어서 예방 효과가 나지 않고, 기업이 현장 안전 관리를 강화하기보다는 방어적 행동에만 치우치고 비용 등 부담이 크다는 것이다.

이제 법 시행 1년이 지났을 뿐인데, 예방 효과가 나지 않는다는 주장은 궁색하기만 하다. 사후처벌이 없이 어떻게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오히려 되묻고 싶다. 법 시행 1년 동안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처벌을 받은 사례는 아직 없다. 이 법으로 기소된 사망사건은 256명이나 되는데 고용노동부의 수사를 거쳐 검찰에 송치된 건은 34건, 기소해 재판에 회부한 건은 11건에 불과하다. 이는 지난 한 해 동안 정부와 당국이 법 적용의 의지가 없었던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즉 법 개정을 논의하며 법 자체를 무력화할 때가 아니라, 법 적용을 강화하며 내실을 다져야 할 때란 얘기다.

인천의 경우도 산업재해가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민주노총 인천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지역에서 산업재해로 사망한 노동자는 54명이나 된다. 이 중 건설 현장과 제조업 사업장에서 발생한 업무상 산재 사망 사건은 38건이다. 업무 중 교통사고와 과로사 추정, 공무원 사망 사건 등도 16건이다. 노동자들이 중대재해로 소중한 목숨을 잃는 일이 어디 인천뿐이겠는가. 중대재해가 생기는 이유는 이윤 추구를 우선하면서 노동자의 안전은 소홀히 다루기 때문 아닌가? 중대재해처벌법 무력화는 결코 안 될 일이다.



관련기사
[중대재해처벌법 1년, 경기지역 일터는] 192명 소중한 생명 잃어…“처벌 강화” vs “예방책 먼저” 시행 1년을 맞은 중대재해처벌법을 놓고 노동단체와 정부가 '반쪽짜리였다'는 평가를 내렸다. 개선책을 찾아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지만 노동단체는 산업재해가 발생한 기업의 처벌을 우선시 한 반면 정부는 예방책 마련에 먼저라는 입장으로 갈렸다.2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난해 1월27일 이후 발생한 재해사망사고는 모두 611건이다. 이 사고로 644명이 숨져졌다. 경기 192명(183건), 충남 59명(55건), 경남 57명(56건), 경북 42명(42건), 서울 38명(38건), 전남 36명(33 [중대재해처벌법 1년, 인천지역 일터는] 54명 노동자, 안타까운 목숨 잃었다 지난해 인천지역 일터에서 목숨을 잃은 노동자가 5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민주노총 인천지역본부는 26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1년을 맞아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인천지역 산재 사망 사고 분석 결과, 총 54명이 사망한 것으로 잠정 추계됐다고 발표했다.이 중 건설 현장과 제조업 사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고질적 업무상 산재 사망 사건은 총 38건이다.업종별로는 건설업에서 일어난 사고가 23건으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9건), 운수 및 창고업(5건)이 그 뒤를 이었다.지역별로 보면 건설 현장이 가장 많은 서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