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책임자 신속한 법 집행
실질적 효과 발휘토록 나서야”

정부, 위험요인 찾아 예방 노력
노동자 적극 안전관리 동참 주문
▲ 26일 오전 수원시 장안구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앞에서 열린  '경기지역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사업장 늑장 기소 규탄 및 경영책임자 기소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노동부와 검찰을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김철빈기자 narodo@incheonilbo.com
▲ 26일 오전 수원시 장안구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앞에서 열린 '경기지역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사업장 늑장 기소 규탄 및 경영책임자 기소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노동부와 검찰을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김철빈기자 narodo@incheonilbo.com

시행 1년을 맞은 중대재해처벌법을 놓고 노동단체와 정부가 '반쪽짜리였다'는 평가를 내렸다. 개선책을 찾아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지만 노동단체는 산업재해가 발생한 기업의 처벌을 우선시 한 반면 정부는 예방책 마련에 먼저라는 입장으로 갈렸다.

2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난해 1월27일 이후 발생한 재해사망사고는 모두 611건이다. 이 사고로 644명이 숨져졌다. 경기 192명(183건), 충남 59명(55건), 경남 57명(56건), 경북 42명(42건), 서울 38명(38건), 전남 36명(33건), 인천 35명(35건) 등이다.

전체 사고는 2021년(665건·683명)보다 낮아진 수준이다.

하지만 중대재해처벌 대상은 늘었다.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인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원 이상) 사업장의 지난해 사망자는 256명(230건)이다. 2021년 248명(234건)보다 8명(3.2%) 많아졌다.

▲ 26일 오전 수원시 장안구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앞에서 열린 '경기지역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사업장 늑장 기소 규탄 및 경영책임자 기소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노동부와 검찰을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김철빈기자 narodo@incheonilbo.com
▲ 26일 오전 수원시 장안구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앞에서 열린 '경기지역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사업장 늑장 기소 규탄 및 경영책임자 기소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노동부와 검찰을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김철빈기자 narodo@incheonilbo.com

정부는 법 시행 이후 기업이 사업장 안전을 높이려는 정책을 펴기보다는 법률 자문 등 처벌 회피를 위한 노력을 해 이같은 일이 나타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처벌보다는 기업 스스로가 중대재해 위험요인을 찾아 예방하는 방식으로 사고를 줄여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노동자도 적극 안전관리에 동참해야한다면서 노사와 함께 안전체계를 만들기로 했다. 이후 발생하는 사고에 따른 책임을 묻기로 했다.

반면 민주노총 경기본부는 재해가 발생한 기업에 대한 처벌이 제대로 되지 않았기에 이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평가한다. 민주노총 경기본부의 자료를 보면 고용노동부는 최근 1년간 30건이 넘는 중대재해 사건을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그러나 검찰이 이 중 단 10건만 기소했고, 대기업에 대한 기소는 단 한건도 없다는 게 민주노총 경기본부의 주장이다.

민주노총 경기본부 관계자는 “말단관리자 처벌, 솜방망이 처벌로는 중대재해를 멈출 수 없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중대재해는 개인의 과실이 아니라 기업에 의한 조직적이고 구조적 범죄다”고 말했다.

이어 “신속한 법 집행을 통해 경영책임자를 엄정처벌해야한다”며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이 실질 효과를 발휘하도록 즉각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1월 27일부터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장 내 노동자의 안전·보건을 확보하도록 사업주·경영책임자에게 의무를 부과한다. 안전·보건 확보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사업주·경영자가 처벌받는다. 적용 대상은 공사금액이 50억원 이상이거나, 5인 이상 사업장 등이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



관련기사
[중대재해처벌법 1년, 인천지역 일터는] 54명 노동자, 안타까운 목숨 잃었다 지난해 인천지역 일터에서 목숨을 잃은 노동자가 5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민주노총 인천지역본부는 26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1년을 맞아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인천지역 산재 사망 사고 분석 결과, 총 54명이 사망한 것으로 잠정 추계됐다고 발표했다.이 중 건설 현장과 제조업 사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고질적 업무상 산재 사망 사건은 총 38건이다.업종별로는 건설업에서 일어난 사고가 23건으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9건), 운수 및 창고업(5건)이 그 뒤를 이었다.지역별로 보면 건설 현장이 가장 많은 서구에서 [사설] 중대재해처벌법 1년, 무력화 중단해야 지난 27일로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1년이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산업현장에서 산업재해로 노동자들이 목숨을 잃는 일이 끊이지 않자 노동계와 시민사회, 정치권에서 오랜 논의 끝에 만들어진 법이다. 이 법의 취지는 경영자 또는 사용자에게 일터에서 안전의무를 강화하고 사망 사고 등 중대재해에 관한 법적 책임(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 벌금)을 물어 중대재해를 사전에 방지하려는 것이다.그런데 법 시행 1년을 맞아 정부 여당과 경영계는 경영자 처벌을 완화하고 사전 예방 교육, 노사 자율 규제에 맡기는 방향으로 법 개정을 시사하고